X

中싱크탱크 "트럼프 60% 관세, 美제조업계 직격" 경고

방성훈 기자I 2024.11.19 14:54:58

"中과 디커플링 시도시 방산 등 美산업계 피해 더 커"
"美제조업계, 2000개 넘는 中공급업체에 의존"
수입물가 상승→美소비자 인플레 부담 확대 주장
"우회수출 등 공급 경로만 달라져…판매 시장 그대로"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중국 경제와 디커플링을 시도할 경우 방위산업을 비롯한 미 산업계가 심각한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AFP)


18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 산하 싱크탱크 개발연구센터의 딩이판 연구원은 “수많은 미 제조업체들이 저렴한 중국산 부품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60%로 인상한다는 트럼프 당선인의 계획은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을 절반으로 줄일 것”이라며 “중국의 공급업체들은 다른 국가, 다른 경로를 통해 제품을 판매해 관세를 회피하려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딩 연구원은 트럼프 당선인의 고율 관세가 중국보다 미 경제에 더 많은 피해를 줄 것이라며, 특히 미 방산업계를 콕 집어 경고했다. 그는 미 방산업체인 RTX(옛 레이시온) 최고경영자(CEO) 그레그 헤이스가 지난 9월 한 콘퍼런스에서 “미 항공우주 및 무기 산업이 중국에 2000개의 공급업체를 두고 있다”고 발언했던 것을 인용했다. 헤이스는 지난해 FT와의 인터뷰에서도 “서방 기업들은 중국과 디리스킹은 가능하지만 디커플링은 불가능하다”면서 대체 공급업체를 찾는 데에만 수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딩 연구원은 또 트럼프 1기 당시 관세 대부분의 비용을 미 소비자들이 지불했다는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의 연구도 근거로 제시했다. 수입물가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이 궁극적으로 소비자 부담으로 이어졌다는 지적이다.

딩 연구원은 “관세를 두 배로 올려도 중국 기업들은 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그들만의 방법이 있다. 무역을 다른 나라로 옮길 수 있다. 하지만 궁극적인 시장(미국)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미국의 무역적자는 줄지 않을 것이며,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환상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딩 연구원은 이외에도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 정책이 중국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봤다. 하지만 중국 상하이 푸단대의 경제학자인 양저우는 지난해 발표한 논문에서 2018년 시작된 미중 무역전쟁 초기 중국의 총 실질소득 손실은 GDP의 0.29%인 반면, 미국의 손실은 GDP의 0.08%에 불과했다고 추산했다고 FT는 부연했다.

아울러 딩 연구원은 중국보다는 미국의 상황에 초점을 맞췄지만, 중국 경제도 현재 매우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 부동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내수가 급격히 악화하고 있어서다. 중국 역시 자국에서 생산된 제품을 흡수할 수 있는 수출 시장이 절실하게 필요한 상황이라고 FT는 지적했다.

한편 딩 연구원의 발언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주말 페루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조 바이든 미 대통령과 만나 레드라인을 넘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한 가운데 나왔다.

시 주석이 언급한 레드라인에는 중국의 경제 개발에 대한 권리가 포함돼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미국의 첨단기술 수출 제한에 대한 것이라고 FT는 설명했다. 다만 시 주석이 논의해야 할 대상은 퇴임을 앞둔 바이든 대통령이 아닌 트럼프 당선인이기 때문에 회담 분위기는 대체로 건설적이었다고 FT는 전했다.

FT는 “중국은 트럼프 당선인의 첫 임기 때에는 소위 ‘전랑’(늑대 전사) 외교라고 하는 ‘눈에는 눈, 이에는 이’ 방식의 공세적인 전략을 펼쳤으나, 트럼프 2기 정부 출범을 앞두고는 좀 더 유화적이고 상황을 지켜본 뒤 대응하는 ‘판다’ 외교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고 짚었다.

트럼프 2기

- 멕시코부터 때린 트럼프…산업부, 현지진출 기업과 대응 채비 - 트럼프 취임 후 美 CNN도 못 버티고 구조조정 - 트럼프 AI투자 발표에 빅테크 들썩…엔비디아 시총 1위 굳히나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