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NN에 따르면 최근 2주간 이스라엘과 이란이 무력 충돌하는 기간에도 미 행정부와 이란은 카타르의 중재로 물밑에서 협상했다.
미 행정부가 타협할 수 없는 원칙은 이란이 자체 우라늄 농축을 완전히 중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란이 우라늄 농축을 포기할 경우 △민간 에너지 생산용 핵 프로그램 구축을 위한 200억~300억달러(약 27조~40조원) 투자 지원 △대이란 제재 완화 △해외 금융기관에 묶인 60억달러(약 8조1500억원) 규모의 동결자산 해제 등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다만 이란 지원에 필요한 자금은 미국이 아닌 중동 동맹국들이 댄다는 구상이다. 이란의 포르도 핵시설을 독자적인 우라늄 농축 기능이 없는 민간 용도의 핵시설로 전환하도록 하고 그 비용을 중동 국가들이 부담한다는 것이다.
미 행정부 관계자는 CNN에 “미국으로부터 자금이 유입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누군가는 이란의 핵 프로그램 재건 비용을 지불해야 하지만 우리가 그런 약속을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이란과 다음 주 핵 협상을 재개할 예정이며, 서명문이 나올 수 있다고 언급했다. 스티프 위트코프 미국 중동특사도 이란과 포괄적 평화 합의를 원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무부 장관은 이날 이란 국영TV에 출연해 “미국과 핵협상을 재개하기 위한 어떤 약속도 없었고, 이와 관련해 논의된 바도 없다”며 “양측 간 어떤 합의나 준비도 진행된 것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협상 재개에 대한 일각의 추측을 심각하게 받아 들여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아락치 장관은 “과거 미국과 협상하는 과정에서 중도에 배신당한 뼈아픈 경험이 있다”며 “이러한 전례는 향후 어떤 결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이란은 미국과 대화가 우리의 이익이 되는지 평가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아락치 장관은 또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을 이란에 초청할 계획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미국과 유럽 등 국제사회는 포괄적 휴전 협상에 IAEA이 이란 핵시설을 사찰하고 검증을 강화하는 내용이 포함될 것을 기대하고 있지만 이란은 거꾸로 가는 모양새다.
이날 이란 헌법수호위원회는 전날 의회를 통과한 IAEA와 협력 중단 방안을 최종 승인했다. 법안은 IAEA의 감시 카메라 설치와 사찰, 보고서 제출 등 협력을 중단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란은 지난 21일 미국이 이란 핵 시설 3곳을 공격한 뒤 IAEA와 협력 중단을 추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