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3월 25일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신청을 앞두고 KSB컨소시엄이 내세우는 건 캐시노트 기반 소상공인 특화금융 서비스다. 캐시노트는 매출 분석과 신용점수 관리, 지원금 정보, 식·부자재 온라인 커머스까지 소상공인 버전 ‘네이버·쿠팡’과 같은 종합 서비스 플랫폼이다. 캐시노트가 데이터 분석 중인 거래금액만 522조원에 달한다. 신 상무는 “기존 은행권에서는 사장님 신용점수가 낮으면 아무리 매출 흐름이 좋아도 여신심사가 거절될 수 있다. KSB는 ‘애매한 영역’에 있는 사장님들에게 단골지수, 재방문율, 운전자금 흐름 등 최신의 정보를 토대로 적시에 자금을 공급하는 여신 전략을 취할 것이다”며 “사장님들이 높은 금리를 내고 2, 3금융권에 갈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소상공인 자금융통의 모든 여정을 상품·서비스에 녹이는 것도 특징이다. 신 상무는 “소상공인들은 납세 기간마다 목돈 수요가 발생한다. 지난해 소득을 바탕으로 부가세 납부를 위한 목돈이 얼마 필요한지 알려주고 파킹통장에 일정 금액 이상을 유지토록 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며 “파킹통장에도 이러한 맥락을 담아 타 은행과 차별화할 것이다”고 설명했다. 이른바 부가세 파킹통장, 소상공인 전용 수신계좌 등 특화상품을 발굴한다. ‘정부 지원금 정보 제공→추가 자금 필요 시 특화 신용평가를 통한 대출 실행→합리적 운전자금 운용 제안을 통한 상환능력 제고’ 등 선순환 체계를 구축해 대출 연체율을 낮춘다는 방침이다. 신 상무는 “AI 기술을 어떤 데이터와 결합해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핵심이다”며 “관련해 AI·빅데이터 기술 이미 갖추고 있다”고 했다.
은행업 진출 초기 고객기반 확보에도 강점이 있다. 신 상무는 “캐시노트 사용자 160만명은 각자가 의사결정권을 가진 사장님들이다. 월간 앱 사용시간도 70분으로 기존 은행 앱 평균 사용시간(15분)보다 월등히 길다”며 “캐시노트 사용자들이 KSB 고객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핵심적인 자산증대 전략이다”고 말했다. 일반 기업·개인고객 유치에도 ‘연결과 확장’ 전략이 유효하다는 게 KCD컨소시엄 관측이다. 신 상무는 “상시 근로자 5인 미만 사업장, 가게와 거래하는 식·부자재 기업, 단기 알바생 모두 KSB의 고객이 될 수 있다”며 “새로 생긴 학원의 강사가 재직기간이 짧단 이유로 신용대출을 거절당한다면 KSB는 학원의 매출 흐름·학생 수 등을 보고 대출을 내줄 수 있다. 개인으로도 고객군을 자연스레 늘리게 된다”고 말했다.
|
자본금 조달방안과 관련해 신 상무는 “우리은행, 우리카드, 아이티센 등 현재까지 공개된 기업 외에도 유동성 보충을 확약할 ‘대형 파트너 기업’이 있다”며 “원활한 증자를 위한 파트너가 확실하고 그다음에는 손익분기점에 도달해 자체 자금조달을 할 것이다”고 말했다. 아울러 지방경제 자금 공급을 위해 지자체와도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신 상무는 “지자체의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금을 효율적으로 분배하기 위해 언제, 누구에게, 어떤 방식으로 쓸 지가 중요하다”며 “지원금 모니터링 사업을 발전시켜 지방 자금공급 효율성을 높이는 데도 기여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