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상대적 지수의 레벨(수준)이 역사적 저점에 도달한 만큼 증안펀드 투입 필요성이 커졌다는 지적이다. MSCI 한국 지수는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가능성을 가늠하는 지표다.
강대석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일각에서는 서킷브레이커 발동과 같은 명확한 집행 기준이나 근거가 필요하다고 지적하나, 우리 증시가 ‘많이 빠졌다’는 본질적인 점에서 증시 안정화를 위해 집행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증안펀드 투입 효과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이날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야3당 정무위 국회의원 자본시장 현안대응 간담회에서 “현재 상황에서 증안펀드가 투입돼도 (증시의) 큰 방향성 자체를 바꾸긴 어렵다”면서 “개인투자자들의 투매가 2~3번 정도 지속되면 그때는 증안펀드의 시장 개입을 고려해 볼 만하다”고 말했다.
증안펀드는 패닉 장세가 나타나면 주식을 매입해 시장 변동성을 낮추기 위해 산업은행 및 5대 금융지주사와 4개 금융투자사, 보험사, 지방은행, 증권 유관기관이 마련한 기금이다. 현재 코로나19 유행 시기 10조원 규모로 조성한 뒤 투입하지 않은 상태다. 기존 주간운영사였던 한국투자신탁운용으로부터 삼성자산운용이 넘겨받아 가동 준비 중이다. 투자 시기와 규모는 증안펀드 투자관리위원회에서 결정한다.
삼성운용 관계자는 “당국의 집행여부 결정에 따라 운용하는 펀드이기 때문에 언제, 어디에 투자할지 여부는 밝히기 어렵다”고 말했다.
정부는 1990년을 시작으로 카드 대란이 있던 2004년,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덮친 2008년, 코로나19 사태 전후인 2020년·2022년 등 다섯 차례에 걸쳐 증안펀드를 도입한 바 있다. 코로나19 당시 투입되지 않아 이번에 투입될 경우 2008년 이후 16년만이다.
다만 증안펀드 투입은 심리적 방파제 역할에 그칠 것이란 분석이다. 실질적으로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가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김 센터장은 “10조원이란 자금은 외국인 투자자가 주식을 며칠 매도하면 나오는 수준”이라며 “우리 공동체와 정치가 불확실성을 빨리 완화시켜 주는 것 말고는 답이 없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