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지역균형발전 핵심 열쇠는…“거점도시·지역통계 활성화 돼야”

정두리 기자I 2025.03.26 16:54:04

한은-통계청, ‘균형발전 위한 과제, 지표를 통한 전략’ 공동포럼
“지역행정 통합하고 지방분권 강화해 경제적 효율성 제고해야”
“지방소멸 방지 위해 내생적 지역정책 등 인구정책 초점 둬야”

[이데일리 정두리 기자] 우리나라의 지역경제 양극화 심화가 고질적인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가운데, 지역통계를 기반으로 지역 간 격차를 진단하고 발전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특히 지역균형발전 정책이 올바른 방향을 설정하는 데 있어 거점도시를 육성하고, 지역내총생산(GRDP)이 핵심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제언이 따랐다.

26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개최된 ‘한국은행-통계청 공동포럼’ 현장. 이형일(왼쪽부터) 통계청장,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우동기 지방시대위원회 위원장. (사진=한국은행)
한국은행은 통계청과 함께 26일 ‘균형발전을 위한 과제, 그리고 지표를 통한 전략’ 이라는 주제로 공동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서 통계청은 GDP를 지역 단위로 적용한 지역내총생산(GRDP) 추계 결과를 발표하고, 전문가들은 지역통계를 기반으로 지역 간 격차를 진단하고 균형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남창우 한국개발연구원 연구부원장은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전략 : 지속 가능한 경제성장을 위하여’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국가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방분권 및 재정분권이 강한 국가들이 높은 경제성장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우리나라도 지역행정을 통합하고, 지방분권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남 부원장은 “특히 재정분권을 강화하는 동시에 지자체가 직접 지역발전정책을 설계·집행하도록 유도해 경제적 효율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안기돈 충남대학교 교수는 ‘지방소멸 극복을 위한 맞춤형 지역정책 및 지역통계’라는 주제를 통해 “지방소멸의 핵심 원인은 청년 인구와 생산가능 인구의 급감에 있다”면서 “지방소멸 방지를 위한 정책 역시 인구정책에 초점을 둬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안 교수는 지역 맞춤형 내생적 지역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안 교수는 “내생적 지역정책의 필수요소로서 철저한 기업중심의 지역혁신시스템을 비롯해 지역혁식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지역공동채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날 포럼에서 이은송 한은 과장은 주택자산의 경제적 중요성과 지역별 통계 확충 필요성을 고려한 ‘지역별 주택시가총액 주요 편제결과’를 발표했다.

주요 편제결과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지역별 주택시가총액은 서울(2320조원), 경기(1986조원), 부산(389조원)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도권에 67.7%가 집중됐다. 2023년 지역별 GRDP 대비 주택시가총액 배율은 세종이 4.5배로 가장 높았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5~2023년중 세종과 제주의 주택시가총액 증가율은 각각 19.1%, 10.9%로 가장 높았는데, 세종은 행정기관 이전, 제주는 2015~2016년중 관광업 호조 등에 기인했다. 이 과장은 “주택시가총액 통계를 이용할 경우 부의 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통계청은 보다 신속하고 종합적인 지역경제 동향 파악을 지원하기 위해 ‘분기별 GRDP’을 개발했다. 분기별 GRDP 공표가 이뤄지면 해당 분기 종료 후 90일 이내로 시도별 분기 성장률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연간으로도 현행보다 9개월 먼저 속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임대환 통계청 사무관은 “분기별 GRDP는 지역경제 동향 파악을 위한 시의성 높은 종합지표로써 경기사황에 부합하는 균형발전 정책 수립 등을 위한 핵심지표로 활용이 기대된다”고 했다.

이날 이 총재는 수도권 집중이 초저출생의 근본적인 원인이라며, 지역 균형 발전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 총재는 “경제, 교육, 의료, 문화 등 거의 모든 분야의 핵심 기능이 서울에 집중돼 있어, 청년들이 다른 선택지를 갖기란 쉽지 않다”면서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고 국가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지역균형발전이 필요하다. 소수의 거점 도시를 키우는 것이 현실적이고 효과적이라고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