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대만, 에너지 수입 확대·관세 인하로 '트럼프 리스크' 대응

이소현 기자I 2025.03.27 16:10:15

대만, 특별 무역 태스크포스 구성
미국과 에너지 협력 강화 추진
車·건강 보조제 등 관세 인하 검토

[이데일리 이소현 기자] 대만 정부가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 가능성에 대응하기 위해 에너지 수입 확대와 자국의 일부 관세 인하를 포함한 다양한 대응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라이칭더 대만 총통이 27일(현지시간) 타이난에서 열린 비상 대응 훈련에서 연설하고 있다.(사진=AFP)
27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신시아 키앙 대만 경제부 차관은 이날 의회에서 열린 질의응답에서 대만 정부는 특별 무역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미국산 에너지 제품 수입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이같이 밝혔다.

키앙 차관은 “미국과 에너지 협력을 강화해 천연가스 공급의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대만 국영 석유기업 대만중유공사(CPC)는 이달 초 미국 알래스카가스라인개발공사(AGDC)와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구매 및 투자 협약을 체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과 일본에 사업에 참여하라고 압박하는 가운데 대만이 선수를 친 것이다. 라이칭더 대만 총통은 해당 협약에 대해 “대만의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외국산 자동차에 대한 25%의 관세 부과를 공식화한 가운데 대만 정부는 이에 대한 대응 방안도 마련해놨다고 밝혔다.

키앙 차관은 이날 국회에서 자동차 관세 인하에 대한 질문에 태스크포스가 “이미 관련 계획 초안을 작성했다”고 답했다.

이어 좡추이윈 대만 재무부 장관은 이날 의회에서 “건강 보조제 및 기타 제품에 대한 수입 관세 인하도 계획 중”이라고 설명했다.

대만 중앙은행은 전날 대만의 높은 경상수지 흑자가 구조적인 문제라며, 미국도 이 상황을 이해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만은 미국과 교역에서 대규모 무역 흑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작년 대만의 대미 수출은 1114억 달러(약 163조3000억원)로 전년 대비 83% 증가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특히 반도체 등 첨단 기술 제품에 대한 미국 내 수요가 급증하면서 대만의 대미 무역흑자가 더욱 확대된 것으로 분석된다.

앞서 스콧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은 미국에 무역흑자가 큰 15 국가를 ‘더티(지저분한) 15’로 지목했으며, 상호관세 조치를 집중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더티 15’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국가 명단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대만을 포함해 중국, 한국, 유럽연합(EU) 등이 이 목록에 포함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관측된다.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부과 조치는 내달 2일(현지시간) 발표될 예정이다.

트럼프 2기

- 트럼프 “우크라 종전 합의 안할시 러 원유에 25% 2차관세” - '車 다음은 반도체' 트럼프 관세 타깃…K칩 위기 고조 - 트럼프발 관세 여파…철강재 美수출 줄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