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압박 수위 높이는 美…李경제팀 한·미간 2+2 협상 틀 ‘부활’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김형욱 기자I 2025.07.22 16:36:48

한국측 강한 협상 의지 美측 보여주고,
통상 협상과 李대통령 의중 전달 병행
산업·외교장관도 산업·안보 '지원사격'
"美 요구 농축산 시장 방어 최대 관건"

[이데일리 김형욱 정두리 기자] 정부가 25일로 확정된 미국에서의 사실상 마지막 대면협상을 앞두고 한·미간 ‘2+2 협상’의 틀을 부활시켰다. 미국이 질 높은 합의를 하겠다며 압박 수위를 높이는 가운데, 미국 측에 우리의 강한 협상 의지를 보여주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기재부)
22일 정부에 따르면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비롯한 이재명 정부 경제팀은 이날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대미 협상 전략을 가다듬은 직후 차례로 미국을 찾아 협상에 나선다.

핵심은 구 부총리와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나서는 2+2 통상협의의 부활이다. 한·미 양국은 미국이 25%의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한 4월 말부터 2+2의 틀에서 협상을 이어왔으나, 지난달 새 정부 출범 후부턴 사실상 통상본부장 1인 체제로 대미협상이 진행됐다. 그러나 새 정부 내각이 갖춰진 데다 미국이 각국에 강조하는 ‘협상 의지’를 보여주기 위해서는 2+2 협상 체제가 효과적이라는 분석이다.

베선트 장관은 21일(현지시간) 미국 CNBC와의 인터뷰에서 관세 합의를 조기에 마무리한 인도네시아의 사례를 들어 “첫 합의안도 좋았지만 미국 측 추가 요구에 다섯 차례 더 좋은 제안을 해왔고 결국 환상적인 합의로 이어졌다”며 각국의 협상 의지를 중시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상호관세 부과 예고시점인 ) 8월1일까지 합의하는 것보다 질 높은 합의에 더 큰 관심이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2+2 체제 부활에 대해 구 부총리는 “미국 쪽에서 재무장관과 USTR 측 협상 요청이 와서 우리도 그렇게 하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 부총리와 여 본부장은 오는 25일 협상 때 각각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만나 담판을 벌인다.

구기보 숭실대 글로벌통상학과 교수는 “구 부총리는 이재명 대통령의 의중을 전하고, 지금까지 계속 협상해 온 여 본부장은 우리 측 마지막 결단을 전달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지난 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한미 통상협의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산업부)
나머지 경제팀도 대미 협상 총력전에 참여한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23일 미국으로 출국한다. 미국 상무부와 에너지부 장관 등 카운터파트를 만나 산업·에너지 부문 협력을 통한 측면 지원에 나선다. 조현 외교부 장관도 이번 주 중 미국을 찾아 안보 측면에서의 지원사격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구 부총리의 출국 일정은 아직 미정이다. 그는 미국산 쌀 수입 쿼터 확대나 30개월 이상 소고기 수입 허용, 정밀지도 해외반출 허용 등 미국 측 국내 비관세장벽 해소 요구에 대한 부처 간 내부 조율을 마무리한 후 출국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이날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선 가능한 모든 협상 카드를 논의했으나 최종 결론까지는 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장상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미국은 앞선 협상에서 상대국 농축산물 시장 개방을 주요 치적으로 내세우고 있고 다른 나라에도 비슷한 요구를 하고 있다”며 “정부가 농축산물 시장을 얼마나 방어해가면서 8월1일 전에 원칙적 합의를 이뤄낼 수 있을지가 최대 관건”이라고 전망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