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 연구위원은 “당초 기재부는 추경 편성보단 신속 집행을 선호했지만 1분기가 종료되는 상황에서 점차 추경 편성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다만 가이드라인을 요청하는 것을 고려하면 이제 추경을 편성하는 초반 단계로 보인다”고 짚었다.
헌법재판소의 판결 이후 추경 민감도는 재차 커질 수 있지만 오랜기간 논의되면서 추경에 대한 민감도가 낮아지고 있다는 게 임 연구위원의 견해다. 그는 “이미 시장은 20조원 규모의 추경을 반영한 상황이나 적자국채 규모에 대한 불확실성은 존재한다”면서 “20조원의 추경을 고려했을 때 적자국채는 15조원 내외가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했다.
추경의 재원으로는 △세계잉여금 △한은잉여금 △기금여유재원 △지출구조조정 등이 있는데 세계잉여금 중 추경에 사용할 수 있는 규모는 최대 1조 8000억원, 한은잉여금은 7000억원이 예상된다.
임 연구위원은 “정부가 올해 추정한 국세수입 규모는 382조 3000억원으로 지난해 336조 5000억원보다 커질 것으로 예상했지만 경기 불확실성으로 인해 세수입의 진도율은 부진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