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유빈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23일 한국노동연구원 주최로 열린 토론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김 연구위원은 보고서에서 “코로나19 위기의 부정적인 여파가 본격화한 2월 이래 일자리를 비롯한 전반적인 경제 활동 위축이 발생했다”며 “경제적 충격은 특히 청년과 여성, 임시·일용직 등 고용 취약계층에 타격이 집중되는 양성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
이와 더불어 고용조정에 이르진 않았더라도 근로시간 축소, 비자발적인 무급휴가·휴직으로 근로소득이 감소한 임금근로자의 비중은 28.7%에 달했다.
비임금근로자는 100명 중 4명이 코로나19로 인해 폐업하거나 도산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당수의 기업이 주문취소 및 수요감소, 영업시간 등 각종규제, 부품 및 재료 공급 중단 등으로 매출액과 사업소득이 감소했다. 비임금근로자 중에서 매출액과 사업소득이 감소했다고 응답한 비중은 86%고, 감소 수준은 평소대비 38.5%에 달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6∼7월 개인 2500명과 사업체 1500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다.
코로나19의 충격은 기업 소득에도 영향을 미쳤다. 조사대상 사업체 중 60%가 매출감소를 경험했고, 매출 감소폭도 평소대비 31.2%에 달했다. 매출 소득이 줄어든 반면 임차료 등 경영비용 측면에서 지출수준은 크게 변하지 않아 사업운영의 어려움이 깊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김 연구위원은 “매출감소로 인한 사업소득에 충격은 소규모 사업체와 숙박 및 음식점업, 도소매업 등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집중됐다”며 “코로나19 재확산 추세 완화까지는 이들 사업체의 사업운영 현황과 정책수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결과 해석에서 본 조사의 목적과 성격이 전국 대표성을 확보한 것은 아님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