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단일화 실패, 대선 경선 후보자들의 당 비판과 불참으로 어그러진 원팀, 계속되는 낮은 후보 지지율 등 악재가 쌓인 국민의힘이 돌파구 마련을 위해선 서둘러 결단을 내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
앞서 김 위원장은 전날 취임 기자간담회에서도 윤 전 대통령 탈당 여부에 대해 “정중하게 탈당을 권고드릴 것이다. 당과 대선 승리를 위해 결단해줄 것을 요청드리겠다”고 말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탈당 권유가 아닌 제명 조치 등 보다 적극적인 행동이 필요하다는 당내 비판이 나오자 구체적인 요청 시점을 바로 다음날에 밝힌 것이다.
김 위원장의 요청에 윤 전 대통령이 어떤 선택을 할지는 미지수다. 앞서 윤 전 대통령은 당내 친윤계 의원들에게 “내가 탈당하는 것이 대선 승리에 도움이 된다면 기꺼이 하겠다”고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대선 승리에 도움’이라는 단서 조항을 붙인 것을 두고 ‘사실상 탈당 의사가 없다’, ‘당내 영향력을 하려는 행동’ 등 다양한 해석이 나왔다.
사실상 키를 쥐고 있는 사람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이다. 선출직 대선 후보로서 당의 인사나 징계, 선거전략 등 전권을 쥐고 있는데다 윤 전 대통령의 탈당·출당이 대선판에 나선 본인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다. 하지만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의 탈당 문제는 윤 전 대통령이 판단할 문제다. 제가 직접적으로 탈당하라, 말라고 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한발 짝 물러나 줄곧 소극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
다만 당내에서 윤 전 대통령 출당 조치나 친윤 일색의 선대위 후퇴 등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만큼 늦어도 이번주 주말 안에는 결론이 날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장예찬 전 국민의힘 청년최고위원은 이날 MBC 라디오에 출연해 “윤 전 대통령의 결단이 우리 국민의힘 내부에서 분열이 아니라 새로운 시너지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강제로 밀어내는 방식보다는 스스로 결단하는 모양새를 취하는 것이 선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대선 승리를 위해 결단하고, 희생하고, 헌신하는 방식으로 보여지기 위한 시간이 주말 정도 사이에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