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담회에서는 △어민 소득 증대와 정주여건 개선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지속 가능한 수산업 육성 △어촌 청년 유입 지원방안 등 수산업계가 처한 현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참석자들은 해상풍력 단지를 조성할 때 어업인들의 의견을 보다 들어야 한다고 요청했다. 또 ‘수출 효자’로 꼽히는 김의 생산부터 가공, 유통 과정에서 업계 의견 수렴, 어선 감척 예산 확대와 원양어선 노후선박 대체 건조 등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와 더불어 양식업 폐업 보상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 업종 전환 지원, 양식 전용 국가어항 개발과 함께 양식장 운영 비용시 부담이 되는 전기료 부담 완화와 양식 재해보험 확대 등도 함께 거론했다. 수산물 소비 진작을 위해 군 급식 단가 개선 등 필요성도 제안했다.
윤준병 국정기획위 기획위원은 “수산업은 연안·어촌의 재생과 국가 식량주권을 담보하기 위한 핵심산업으로 생산성 제고를 위한 어선 현대화, 스마트 양식업 육성의 중요성을 감안해 어업인의 소득 안전망 확충을 위한 지원방안 등을 살펴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