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을 통해 “이재명 대통령은 한강 홍수통제소를 점검한 후 이태원 참사 현장 참배를 긴급 결정했다”면서 “참모진과 함께 참사현장을 찾아 국화꽃을 헌화하고 묵념하며 한참을 머물렀다”고 했다. 이어 “현장에서 만난 시민들은 이 대통령에게 악수와 사진 촬영을 요구하며 상인들은 ‘관리비도 못 낼 정도로 힘들다’면서 서민들의 삶이 나아지는 정치를 펴달라 당부했다”고 밝혔다.
앞서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서초구의 한강홍수통제센터를 찾아 수해 대비에 나섰다. 현장 점검에는 김완섭 환경부 장관과 이한경 행정안전부 재난본부장 등이 배석했다. 이 대통령은 “잘 먹고 잘 사는 민생 문제도 중요하지만, 그것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국민의 생명·안전을 지키는 일”이라며 “문제는 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사고가 발생했을 때 피해가 확대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고, 세 번째는 신속한 복구”라고 말했다.
안전업무를 담당하는 부서에 주의를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안전에 관한 생각과 안전부서에 대한 마인드를 통째로 바꿨으면 싶다”면서 “인력 배치부터 업무 성과 보상체계도 근본적으로 바꿨으면 싶은 생각이 든다”고 밝혔다. 이어 “각 과정마다 공무원과 담당자들이 어떤 마인드로 대응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가 발생하기도 한다”고 했다. 세월호·이태원·오송 지하차도 참사를 거론하면서는 “최소한 이재명 정부에선 그런 일은 절대로 벌어질 수 없다는 점을 분명하게 말씀드리고 싶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이 취임 후 연일 안전을 강조한 만큼, 정부 차원에서 재난·재해를 막겠다는 의도가 엿보인다. 이 대통령은 지난 5일 안전치안점검회의를 소집하며 “국가 존재 이유 중 가장 큰 게 국민 생명·안전을 지키는 일”이라며 “국정이든 지방행정이든 제일 먼저 챙겨야 될 것이 국민 안전”이라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당시 국민의 생명·안전을 관리하는 부서에 우수한 인력을 배치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는 “지금까지는 대체적으로 안전 관리 부서의 영역을 방치하는 인허가 이런 데는 우수한 인력을 배치하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관계된 안전 관련 부서나 이런 데는 좀 반대로 하는 그런 경향이 있었지 않나 싶다”면서 “가급적 인사 배치에서도 그러지 말고, 이권이 관계되는 영역보다 우리 국민의 생명·안전이 관계된 그런 영역에 좀 더 유능한 인재를 배치하는 것 이런 등의 개선 노력을 했으면 좋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