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대행은 25일 국무회의에서 “지금 이 순간 우리의 소명은 국민의 안전을 지키고 통상전쟁으로부터 국익을 확보하며 국회와의 협치를 통해 당면한 국가적 현안에 대한 해법을 조속히 마련하는 것”이라며 “저부터 그간 통상과 외교 분야에서 쌓아온 경험을 바탕으로 미국발 관세 폭풍을 헤쳐나가는데 모든 역량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날 헌법재판소의 탄핵 기각으로 업무에 돌아온 한 대행은 복귀 일성으로 통상 위기 대응을 내걸고 있다. 다음 달 미국의 상호관세(다른 나라가 미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무역장벽만큼 관세를 부과하는 것) 도입을 앞두고 한국도 부과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한 대행은 이날 대외경제현안간담회를 경제안보전략태스크포스로 개편하고 자신이 직접 회의를 주재하기로 했다. 정부와 기업 간 공동 대응 체계도 강화한다. 정부에선 통상교섭본부장과 주미대사를 지낸 한 대행이 통상 위기 대응에 적극적인 역할을 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이날 미 백악관은 한국과의 협력에 관해 “미국은 한 대행 및 대한정부 정부와 협력하는데 전념하고 있다”며 “미국은 한국과 한국 국민의 민주적 회복력을 확신한다”고 밝혔다. 백악관이 한국 정국에 공식 입장을 밝힌 건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이번이 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