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경찰 비상계엄 특수단은 “조은석 특검이 이날 오후 3시쯤 특수단에 방문해 1시간 넘게 특검 관련 업무 협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경찰 특수단은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사태 이후 내란 관련 수사를 이어왔다. 경찰은 최근 대통령경호처로부터 비화폰 서버와 대통령실 폐쇄회로(CC)TV를 넘겨받으며 수사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경찰은 비화폰 서버 기록을 분석하며 비화폰 정보가 삭제된 증거인멸 정황에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경찰은 비상계엄 선포 이후인 지난해 12월 6일 윤 전 대통령과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김봉식 서울경찰청장의 비화폰 정보가 원격으로 삭제된 것을 확인했다. 또 12월 6일엔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의 비화폰 정보도 삭제된 것을 포착했다.
경찰은 증거인멸 혐의와 관련해 피의자를 구체적으로 특정하진 않았지만 윤 전 대통령이 연관돼 있을 가능성을 들여다보고 있다.
경찰은 윤 전 대통령에 대해 세 차례 출석 통보를 한 상황이다.
경찰은 비상계엄 선포 직전 열린 국무회의와 관련해서도 CCTV를 분석하며 국무위원들의 진술과 비교대조하고 있다.
조 특검은 이날 오전 11시께 임명 이후 첫 일정으로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을 찾아 박세현(29기)서울고검장과 면담하기도 했다. 박 고검장은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장을 맡아 윤석열 전 대통령 등 주요 관련자를 기소하는 등 내란 사건을 지휘하고 있다.
내란 특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12·3 계엄령’ 관련 내란·외환죄, 군사 반란, 내란 목적 선동·선전 등을 수사 대상에 포함한다.
내란 특검의 수사 인력 규모는 특검 1인, 특검보 6인을 포함해 최대 267명까지 배치 가능하다. 수사 기간은 최대 170일까지다.
특검의 사무실이 마련되고 다른 준비가 마무리되면 7월 초쯤 본격적인 수사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조 특검은 이날 오전 검찰 기자단에 보낸 입장문에서 “수사에 진력해 온 국수본(경찰 국가수사본부)-공수처(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검찰의 노고가 헛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사초를 쓰는 자세로 세심하게 살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