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국회로간 연금개혁…인상 ‘공감’ 소득보장률 ‘으르렁’

이지현 기자I 2025.01.23 17:27:11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공청회 개최
모수개혁 논의 與 구조개혁 요구도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23일 국회에서 열린 국민연금법 개정안 공청회에서 연금 전문들과 여야의원들은 보험료율 현재보다 올려 안정적인 노후에서 배제되는 사람 없이 폭넓게 보장해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하지만, 소득 대체율을 현재 42%에서 ‘동결해야 한다’는 주장과 ‘50%로 인상해야 한다’는 주장이 팽팽하게 맞섰다.

◇ 보험료율 인상 찬성…소득보장율 ‘팽팽’

정부는 개혁안을 통해 보험료율을 ‘9%’에서 ‘13%’로 단계적으로 인상안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오건호 내가만드는복지국가 정책위원장은 “다른 나라들이 강력한 재정 안정화 조처를 할 때 한국은 보험료율을 9%에서 한 번도 건드리지 않았다”며 “더 중요한 것 보험료율을 13%로 인상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석재은 한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도 “연금 개혁의 본질은 거대한 인구 절벽이 빚어낸 미래 세대에 대한 불공평한 부담 쏠림을 해소하는 것”이라며 “핵심 과제가 보험료 인상”이라고 모수개혁에 힘을 실었다.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국민연금법 개정안에 대한 공청회에서 주은선 경기대학교 사회복지전공 교수가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반면 윤석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명예연구위원은 “소득대체율 40%를 유지하려면 (보험료율을) 15% 이상으로 더 높여야 된다”며 “여기에 핀란드식의 자동안정장치를 도입해 보험료 2%포인트에 상응하는 재정안정화 달성하자”고 제안했다.

연금연구회에 따르면 국민연금 미적립 부채가 1825조원이 넘는다. GDP 대비 83% 수준이다. 소득대체율을 40%로 유지해도 2093년이 되면 미적립 부채는 GDP 대비 383.9%가 된다. 윤석명 박사는 “국제통화기금(IMF)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국가 부채는 인구 고령화와 연금 제도로 인해 2070년에 GDP 대비 200%가 된다”며 “IMF는 소득대체율을 40%로 유지하더라도 보험료율을 현행 9%에서 22.8%로 올려야 국가 부채가 더 늘어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고 소개했다.

대표적인 소득보장파인 주은선 경기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소득대체율을 50% 수준으로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보험료율 13% 정도면 20년 정도는 적정할 수 있지만 이후엔 목적세 도입 등을 통해 추가 재원 마련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오건호 내가 만드는 복지국가정책위원장은 “소득대체율을 40%대에서 50%로 올린다고 지금 빈곤 상태에 있는 혹은 미래의 빈곤 상태에 처할 하위계층 노인들의 급여 증가 효과가 크지 않다”며 “결국은 그들한테 가장 효과를 낼 수 있는 게 기초연금이다. 기초연금을 지금처럼 동일한 금액을 70% 노인에게 주는 방식으론 하위 계층의 구별 수준을 두툼하게 할 수가 없다. 기초연금의 급여구조까지 개혁을 같이하는 이론적으론 베스트”라고 반박했다.

◇ 개혁 당기는 野·느긋한 與

여당 의원들은 소득대체율 상향에 대해선 반대입장을 보이며 모수개혁 중심의 논의가 아닌 구조개혁을 포함한 논의를 주장했다.

서명옥 국민의힘 의원은 “소득대체율을 올리는 것만으론 저소득층에게 혜택을 주고자 하는 목적이 달성되지 않고 그 반대의 효과가 나온다”며 “연금 개혁을 위해서는 좀 더 면밀하게 모든 걸 테이블에 올려놓고 기획재정부, 고용노동부 등과 심도 있게 논의를 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안상훈 국민의힘 의원은 “오늘 나온 얘기를 전부 잘 버무리면 답을 낼 수 있을 것 같다”며 “국민연금만 가지곤 대한민국의 노후소득 보장, 노후빈곤, 국민연금의 재정안정이라는 3마리 토끼 다 잡는 건 불가능하다. 퇴직연금과 기초연금까지 같이 해서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합의 가능한 것을 좀 찾았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김남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민연금제도에서 보험료를 올린다는 건 국민이 매달 내야 할 보험료가 늘어난다는 것”이라며 “민생도 경제도 너무 어려운 상황에서 국민에게 더 많은 부담을 지우는 것이 국민의 동의를 이끌어내기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래서 지금까지 연금 개혁 안 된 거다. 그런데 이번에는 여기까지 왔다”고 의의를 설명했다. 이어 “모든 사람이 만족하는 연금 개혁안은 있을 수 없다”며 “특히 연금개혁은 너무 많은 이해당사자가 있고 저출생 고령화로 한국상황이 녹록지 않기 때문에 더 합의가 어렵다. 그래서 우리가 달할 수 있는 합의서부터 이야기를 시작하자”고 빠른 개혁을 촉구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