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동안 문체부 장관은 문화예술계 종사자 또는 문체부 출신의 문화예술 행정 전문가가 주로 맡았다. 이번 개각을 앞두고도 정재숙 전 문화재청장, 배기동 전 국립중앙박물관장, 나종민 전 문체부 1차관 등이 차기 문체부 장관 후보로 하마평에 올랐다. 그러나 예상을 깨고 도시계획 전문가인 황 후보자가 내정되자 문화예술계는 기대보다 우려가 큰 상황이다.
청와대는 황 후보자의 내정 이유를 “기획력과 업무추진력, 의정활동으로 쌓은 경험”으로 꼽았다. 청와대 관계자는 “(황 후보자가) 도시재생 뉴딜 정책 활동을 많이 했는데 이러한 활동들이 문화·예술 분야와 관광을 접목하는 분야”라며 “체육계와 관광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기획력과 소통능력을 감안했다”고 설명했다.
문화예술계는 이를 납득하기 힘들다는 분위기다. 블랙리스트 문제 해결에 앞장서온 문화민주주의실천연대의 정윤희 위원장은 이데일리와의 통화에서 “문화예술 관련 이력이 거의 없는 인사가 문체부 장관 후보로 지목됐다는 점에서 블랙리스트가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이 그대로 남아있는 것 같아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정 위원장은 “청와대에서 황 후보자를 문체부 장관으로 내정한 이유에 대해 도시재생 뉴딜 정책 활동을 꼽았는데 이런 사업에서 문화예술이 수단으로 활용될 때가 많았기에 더욱 우려가 된다”며 “청문회를 통해 블랙리스트 등에 대해 후보자가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 지켜보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문화예술계 관계자는 “이번 문체부 장관 후보 내정은 정권 말기 보은 인사로 가는 것 같아 참담한 기분”이라며 “황 후보자가 블랙리스트 후속 조치와 ‘예술인 권리보장법’ 통과 등 문체부의 현안을 얼마나 알고 있을지 모르겠다”고 걱정을 나타냈다. ‘예술인 권리보장법’은 블랙리스트와 ‘미투’ 운동을 계기로 정부가 예술인의 표현의 자유와 권리 보장을 위해 추진해온 법안으로 20대 국회에서 통과되지 못하고 21대 국회에 다시 발의돼 있는 상태다.
코로나19로 공연계 피해가 심각한 상황에서 황 후보자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적임자가 맞는지에 대한 의문의 목소리도 나온다. 한 연극계 관계자는 “황 후보자가 더불어민주당 4차 산업혁명 특별위원회에서 활동했다는데 공연예술에 대해서도 온라인 공연과 같은 것에만 관심을 보일지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뮤지컬계 관계자는 “문체부의 새 수장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할 문화예술 정책 수립과 함께 우리 문화의 글로벌 경쟁력을 위한 전략적인 사업 추진 능력이 필요하다”며 “황 후보자가 이런 부분에서 능력을 보여줄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