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발표

습지 위 송전철탑 설치 허용…해상풍력 전력망 연계 ‘탄력’

김형욱 기자I 2025.04.01 19:31:14

한전, 전남도·환경단체 등 손잡고
습지보전법 시행령 개정 이끌어
“해저 케이블보다 습지보호 유리,
신안 해상풍력 3천억 절감 기대도”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이달부터 습지보호구역 내 송전철탑 설치가 허용된다. 전국 주요 해상풍력 발전단지의 전력망 연계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남동발전의 제주 탐라해상풍력발전단지 전경. (사진=남동발전)
한국전력(015760)공사는 정부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습지보호법 시행령 개정안을 1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습지와 습지 내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해 1999년부터 습지보전법을 시행하고 습지보호지역 내 송전철탑 등 인공구조물을 설치를 금지해 왔다.

문제는 전국 해역에서 해상풍력발전단지가 조성 중이고 이곳 발전 전력을 내륙으로 보내려면 해저 케이블을 설치해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비용이 더 들뿐 아니라 해저면 굴착으로 더 큰 환경 훼손이 우려되는 상황이었다. 일례로 신안 앞바다에 3기가와트(GW)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 사업이 진행되면서 한전이 이곳과 내륙을 잇는 송전선로를 구축하고 있는데, 이중 3.8㎞ 구간이 습지보호구역이다.

한전은 이 같은 어려움을 풀고자 2022년부터 환경부 등 관계부처에 시행령 개정 필요성을 제안하는 동시에 전남도와 환경운동연합·에너지전환포럼 등 환경단체와 함께 해저케이블 공사보다 철탑 건설이 습지를 보호하는 데 유리하다는 점을 설명하며 공감대를 형성해 왔다. 한전이 신안 앞바다 습지보호구역에 해저 케이블을 설치하려면 축구장 100개 규모인 100헥타르(㏊)의 해저면을 파내야 한다.

정부도 한전과 지자체, 환경단체 등 이해관계자의 공감대 아래 기획재정부 규제혁신 대책반(TF)을 통해 시행령 개정을 추진했고, 제3기관을 통한 환경영향평가 등 절차를 거쳐 최근에 습지보전법 시행령 개정을 확정했다.

국내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의 필수 요건인 전력망 구축 사업도 탄력을 받게 됐다. 한전은 새 시행령 덕분에 신안 해상풍력 송전선로 사업에서만 약 3000억원의 공사비용 절감과 38개월의 공사기간 단축을 기대하고 있다. 새 시행령은 인천과 신안, 여수·고흥 등 다른 습지보호구역에도 적용되는 만큼 총 1조 5000억원 이상의 비용을 아낄 수 있다는 게 한전의 추산이다.

한전 관계자는 “이번 제도 개선은 단순한 법 개정을 넘어 공공기관과 지자체, 환경단체가 협업해 문제를 해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한전은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과 해상풍력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마중물 역할을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