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안준철의 스포츠시선] 올스타전의 패러다임은 무엇일까?

스포츠팀 기자I 2024.07.06 12:25:47
5일 오후 인천 SSG랜더스필드에서 열린 ‘KBO 올스타 프라이데이’ 컴투스프로야구 홈런더비에서 우승을 차지한 LG 오스틴 딘이 트로피를 들고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일 오후 인천 SSG랜더스필드에서 열린 2024 퓨처스 올스타전 북부 올스타와 남부 올스타의 경기. 이병규 삼성라이온즈 퓨처스 감독의 아들인 SSG 이승민이 ‘적토망아지’라고 쓰인 옷을 입은 채 헛스윙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안준철 스포츠칼럼니스트] 2024 프로야구 올스타전이 전야제 행사를 시작으로 인천 SSG랜더스필드에서 막이 올랐다. 올스타전은 말 그대로 ‘별들의 축제’이다. 2024시즌 맹활약 중인, 팬들의 인기를 한 몸에 받는 선수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축제다.

반환점을 돌기도 전에 합계 600만 관중을 넘어서 역대급 흥행을 예고하고 있어 이번 올스타전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전야제 행사는 한국 야구의 미래인 퓨처스 올스타전과 올스타전 전야제의 꽃으로 불리는 홈런더비가 열렸다. 퓨처스 올스타전은 국군체육부대(상무)·NC다이노스·삼성 라이온즈·롯데 자이언츠·KT위즈·KIA타이거즈가 한 팀을 이룬 남부 올스타가 LG트윈스·한화 이글스·고양 히어로즈·SSG랜더스·두산 베어스의 북부 올스타를 9-5로 꺾었다.

경기 승패보다는 올해 처음으로 선보인 퍼포먼스가 더 눈길을 끌었다. 퓨처스 올스타전에서 처음으로 베스트 퍼포먼스상이 생겨서인지 많은 선수들이 다양한 분장을 하고 나섰다. 삼성 이병규 2군 감독의 아들 이승민(SSG)은 아버지의 별명 ‘적토마’의 뒤를 이은 ‘적토망아지’라는 별명에 맞춰 말 의상을 입고 등장했다. 베스트 퍼포먼스상 수상자인 롯데 박준우는 유명 걸그룹 에스파의 카리나로 분장했다. 박준우는 화제를 모았던 카리나의 부산 사직구장 시구 당시 시구 선생님으로 이름을 알렸다. 박준우는 긴 머리 가발, 걸그룹 화장을 하고 에스파의 ‘슈퍼노바’ 안무를 선보였다.

홈런더비는 서든데스 승부 끝에 LG 오스틴 딘이 우승을 차지했다. 이날 랜더스필드에는 대 퓨처스 올스타 최다 유료 관중인 1만1869명이 몰렸다. 6일 열리는 올스타전 본 행사에도 많은 관중이 몰릴 것으로 예상하는 분위기이다. 2024시즌 관중 흥행이 올스타전에도 이어지고 있는 모양새이다. 말 그대로 ‘축제’라는 이름에 걸맞은 뜨거운 분위기이다. 팬들을 위한 서비스 제공이라는 측면에서도 기대를 모으고 있다. 물론, 뚜껑을 열어보기 전까지는 알 수 없다.

올스타전이 존재하는 이유는 축제의 성격이다. 그리고 축제는 많은 ‘볼거리’와 ‘재미’가 전제되어야 한다. 최근 몇 년간 프로야구 올스타전은 ‘재미없다’는 얘기가 많았다. 이는 다른 스포츠 종목의 올스타전에서도 꾸준히 제기됐던 지적이었다.

이는 올스타전의 출발이 바로 볼거리와 재미라는 측면이었기 때문이다. 올스타전이라는 개념은 메국 메이저리그 야구에서 등장했다. 1933년 시카고에서 개최한 엑스포 축하 행사의 일환으로 시카고 트리뷴의 아치 워드 기자가 제안한 것이다. 월드시리즈에서나 대결이 가능했던 당시 내셔널리그와 아메리칸리그의 슈퍼스타들이 조를 편성해 일회성 경기를 갖던 것이 호응을 얻어 정례화된 것이다. 즉, 이례적인 성격, 특이성이 팬들을 자극했다고 해석할 수 있겠다.

디비전이나 리그 대항 형식의 올스타전은 타 종목, 다른 나라의 리그에도 정착했다. 미식축구, 농구도 그렇고, 일본 프로야구 올스타전도 양대리그의 대결이다. 다만, 단일리그제인 한국 프로스포츠에서는 이런 맞대결의 성격이 덜했다. 프로야구 초기 내건 슬로건인 ‘백구의 대제전’이라는 표현에 더 맞는 행사였다.

물론 메이저리그 야구나 일본 프로야구처럼 인터리그(교류전) 도입 후 특이성이 희미해지면서 올스타전의 인기가 떨어지는 현상도 벌어졌다. 이는 볼거리 측면에서 올스타전의 차별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한국의 프로야구 올스타전도 마찬가지였다. 여기에 팬 투표 위주의 방식이기에 일부 팀들이 모든 포지션을 독식하는 장면도 나왔다. 타자가 마운드에 오르고, 투수가 타석에 서는 방식으로 특이성을 유지하려고 했다. 또는 체격이 건장한 4번타자 유형의 선수가 1번타자로 나서는 장면도 있었다. 2009년 인천에서 열린 올스타전에서 이대호(은퇴)를 1번타자에 배치했던 당시 동군 김성근 감독의 용병술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특이성 보장은 한계가 뚜렷했다. 반복적인 포지션 파괴 등은 시간이 지날수록 팬들에게 식상한 이벤트가 된다. 화제성이라는 측면에서도 유통기한이 짧아질 수밖에 없다. 퍼펙트 피처, 번트왕 등 몇 년간 행해졌다가 사라진 세부 이벤트도 특이성 보장 차원에서 유통기한이 다했기 때문이다. 그만큼 재미와 볼거리가 넘치는 축제라는 성격을 유지하기 위해서 올스타전은 꾸준히 연구해야 한다. 매년 화제를 모으고 있는 베스트 퍼포먼스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무엇보다 올스타전의 패러다임이 무엇인지부터 따져볼 필요가 있다. 재미와 볼거리를 갖춘 축제의 성격도 중요하지만, 올스타전도 스포츠 경기이다. 기량과 인기를 모두 갖춘 올스타 선수들이 최선의 경기력을 보여 주는 게 가장 큰 팬서비스다.

올스타전은 최근 ‘재미없다’는 평가를 바꾸고 있었다. 올스타 휴식기가 길어지면서 올스타전에 설렁설렁 뛰던 선수들의 눈빛이 달라졌었다. 과거 올스타 휴식기가 3~4일로 짧았을 때는 올스타에 선정됐다가 부상을 핑계로 하차하는 선수들이 부지기수였다. 특히, 선발투수들은 올스타 휴식기 이후 순위 싸움이 치열해지는 후반기 등판이 더욱 신경 쓰일 수밖에 없다. 올스타 휴식기가 1주일 정도 늘어나면서 이런 부담은 다소 해소됐고, 올스타전에서도 전력으로 임했다.

하지만 올해 다시 휴식기가 짧아져, 최상의 경기력을 볼 수 있을지 의문이긴 하다. 일부 감독들도 휴식기가 짧아진 것에 불만을 토로했다. 적절한 불만이다. 팬들에게 인정받은 별들이 최고의 기량을 겨루고 뽐내는 무대가 올스타전이어야 한다. 장마 때문에 경기 자체의 취소나 연기를 걱정해야 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기후 변화로 인해 장마 시기가 과거와는 달라졌다. 매해 올스타전은 장마와 겹친다. 돔구장이 한 곳밖에 없는 국내 프로야구 인프라 사정상 올스타전 개최 시기 변화도 논의해볼 필요가 있다. 올스타전 상금 인상도 같은 맥락에서 생각해볼 문제다. 올스타 선수들이 최상의 경기력을 펼칠 수 있게 할 동기부여도 중요하다.

결국, 경기력이 올스타전의 패러다임이다. 멋진 플레이가 팬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최고의 서비스다.

SH2C 연구소장(커뮤니케이션학 박사)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