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PD의 연예시대③]매니지먼트법·공채탤런트가 장자연 문제 해결책?

윤경철 기자I 2009.03.23 09:53:53
▲ 신인배우 장자연의 사망 후 연예계에선 잘못된 관행에 대한 개선의 목소리가 드높다.(사진=한대욱기자)


[이데일리 SPN 윤경철 객원기자] 고(故) 장자연 사건 이후 새롭게 주목받는 제도들이 있다.

다름아닌 현재 국회에서 추진중인 연예매니지먼트 법안과 공채 탤런트 제도 그리고 연예인들에 대한 정기검진이 그것이다.

◇탁상공론, 매니지먼트 법안

문화체육관광부는 최근 장자연의 자살로 수면 위에 오른, 이른바 ‘노예계약’을 비롯한 연예계 불공정 관행을 해소하기 위해 연예매니지먼트업의 등록제 등을 정부입법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국 대중문화 분야가 양적으로 급속히 팽창했지만 연예인 발굴 시스템이나 전속 계약 등에서 질적 성장을 하지 못했다는 판단에서다.
 
국회의원도 이같은 움직임에 동참하고 있다. 지난해에 이어 또 다른 국회의원이 연예인 매니저의 국가공인자격증 제도를 도입하고, 연예기획사의 법적 등록을 의무화한다는 골격의 법률안을 국회에 발의했다.
 
이 법률안에 따르면 ▲연예인의 매니저가 되려면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시행하는 공인(公認) 연예인관리자 자격시험에 합격해야 하고 ▲연예기획사를 설립하려면 문화체육관광부령에 따라 등록 절차를 밟아야 한다 ▲또 연예 기획업자는 영화와 드라마 제작을 겸업할 수 없으며 ▲소속 연예인의 영화 드라마 광고 등 출연료의 수수료는 20%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물론 장자연 사건같은 불미스런 일이 끊이지 않는 만큼 시스템 재정비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일면 설득력이 있다. 그런데 과연 이런 법안들이 나오면 연예계 불공정 관행이 뿌리채 뽑혀질까. 한마디로 현실감이 떨어진다. 현실을 무시한 탁상공론에 의한 처방이란 평가다. 리스크가 큰 연예산업에서 수익다변화가 세계적인 추세인 요즘 이런 가이드 라인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 새로운 콘텐츠를 만드는 제작자들을 알선 수수료나 챙기는 중개인으로 바라보는 발상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그리고 혹여 이렇게 제도화 된다고 하자. 과연 이러한 규정이 제대로 지켜질 수 있을까. 스타덤에 오른 배우라면 모르겠지만 단역 출연만으로도 감지덕지한 신인이 어떻게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을까. 약자인 신인들은 인권유린, 사생활 침해, 불공정한 수익 분배 등을 감수하고서라도 출연을 하고 싶어하고 제작자들은 상대적으로 자신에게 유리한 계약을 추구할 수밖에 없다. 오히려 이에 대한 해법은 정부주도의 제도도 좋지만 현실감 있는 제도 도입과 함께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공채탤런트만으로 투명성이 확립된다?

고 장자연 사건을 계기로 연예계 입문과 캐스팅 과정의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공채 탤런트 제도가 주목받고 있다. 이 제도가 눈길을 끄는 건 연예계 투명성을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될지 모른다는 판단에서다. 공중파에서 한동안 실시하지 않았던 공채탤런트 제도를 잇따라 도입한 것은 지난해 불거진 톱스타들의 고액 출연료 문제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엔 성상납 등 연예계의 어두운 면을 정화시키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에 더욱 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 출연기회를 좀처럼 잡기 힘든 신인 연기자의 캐스팅 과정이 공채 탤런트라는 공식적인 통로를 거쳐 이뤄질 경우 공정성 논란이 덜해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실제 지난해 공채제도를 부활한 KBS는 선발한 공채 출신을 자사 드라마에 최소 한명씩 출연시키겠다고 밝혔고, 이들은 KBS 일일드라마 등에 얼굴을 내비치고 있다.

하지만 이 역시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해법이란 지적이다. 공채제도는 투명성 측면에선 물론 효과적일 수 있다. 하지만 이후 드라마 캐스팅 과정과 출연을 통해 성공을 거두기까지 배우들 사이 또 다른 경쟁은 피할 수 없는 게 현실이다.  

◇연예인들의 정기검진?

연예인들이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을 취할 때마다 나오는 이야기가 있다. 연예인들에 대한 정기검진이다. 과거 몇몇 연예인이 자살했을 때 대형기획사들은 한 달에 한 번 대형병원과 손잡고 정기검진을 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인기에 따라 등락폭이 심한 연예인들이 쉽게 자신들의 고민이나 어려움을 한 달에 한 번 만나는 정신과 상담의에게 털어놓을 수 있을까. 잠잘 시간조차 없는 스타들이 의사를 만날 시간을 과연 낼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한마디로 이 또한 탁상공론이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획일적인 제도적 장치를 통해 반복되는 연예계 문제를 해결하기 보다는 연예인들의 다양성과 현실감을 고려한 법적 제도 장치 마련이 급선무”라면서 “일방적이기 보다는 소통과 대화를 통해 정부와 연예계가 함께 상생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OBS경인TV '독특한 연예뉴스', '윤피디의 더 인터뷰' 프로듀서(sanha@obs.co.kr)

▶ 관련기사 ◀
☞[윤PD의 연예시대②]동거·스폰·성상납, 女배우 죽이는 세가지 악성루머
☞[윤PD의 연예시대①]'성상납 리스트', 연예계 '집단 관음증' 도졌다
☞[윤PD의 연예시대③]'장자연 유서 원본 떴다'...네티즌 모럴 해저드 심각
☞[윤PD의 연예시대②]"연기하는 셈 치고 유혹해봐"...J씨 몸로비 실태 '폭로'
☞[윤PD의 연예시대①]'나 떨고 있니'...장자연 리스트에 연예계 '술렁'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