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단독]‘밸류업’ 표현 뺀 거래소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이용성 기자I 2025.07.27 12:55:51

내부 문서 등에서 '밸류업' 표현 사라져
인력 재배치 ‘밸류업 지원부’ 일순위
거래소내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 30일 출범

[이데일리 이용성 신하연 기자] 한국거래소가 윤석열 정부가 추진했던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한 ‘밸류업’ 정책의 흔적 지우기에 나섰다.

사진=한국거래소
27일 이데일리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거래소에서 ‘밸류업’이라는 표현보다 ‘증시 활성화’같은 중립적인 용어 사용이 권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 정부가 대대적 증시 활성화 대책을 추진 중인 만큼 전 정권의 대표적 상징인 밸류업보다 더 큰 틀로 정책 용어를 아우르기 위함이다. 거래소에서 사용하던 일부 문서 형식이나 메일 등에서도 ‘밸류업’ 로고는 삭제됐다.

이와 더불어 이재명 정부들어 추진된 ‘불공정거래 근절 대책’의 일환으로 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 인력 보강이 이뤄지는 만큼, 기존 인력 재배치 대상에 ‘기업 밸류업 지원부’ 인력 축소도 일순위로 거론된다. 밸류업 지원부는 윤석열 정부때 경영지원본부 산하에 신설된 조직이다.

오는 30일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등 3개 기관이 협력하는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이 현판식을 열고 여의도에 위치한 한국거래소 본원에서 공식 출범한다. 총 34명으로 구성되는 합동대응단에 거래소에서는 신속심리부 부장급 이하 12명이 파견된다. 대응단 파견 인력의 수만큼 기존 인력 재배치와 신규 인력 채용 등을 통해 보강이 이뤄질 예정이다.

거래소의 이 같은 조치는 이재명 정부의 ‘코스피 5000’ 증시 활성화 정책이 나오면서 윤석열 정부의 밸류업 정책과 일정 정도 선 긋기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기존의 밸류업 정책은 기업이 자발적으로 저평가를 해소하는 노력이 골자지만, 이번 이재명 대통령의 증시 활성화 정책은 불공정 거래 근절과 상법 개정 등을 통한 거버넌스 개혁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거래소 한 관계자는 “내부에서 자연스럽게 ‘밸류업’을 덜 쓰는 분위기가 있다”며 “전 정부에서 드라이브를 걸었던 정책인 만큼, 거래소 내부에서도 고민을 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정권이 바뀌면 기존 정책의 명칭이 바뀌는 일은 흔한 일이다. 가령 이명박 정부가 국정 운영 패러다임으로 선정한 ‘녹색 성장’은 문재인 정부 들어서 ‘그린 뉴딜’로 바뀌었고, 윤석열 정부 때는 ‘탄소중립 녹색성장’으로 또 변경됐다.

거래소는 이와 관련 “추후 밸류업 정책을 아우르는 큰 정책이 나온다면 정책 일관성 측면에서 혼선이 적은 수준에서 조정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며 “아직 인력 재배치나 조직명칭 변경 등은 검토된 바 없다”고 말했다.

애초 ‘밸류업’에 대한 표현은 거래소 내부에서도 이견이 있어 왔다. 기업들이 스스로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주주중심 경영을 한다는 취지인데 이 명칭이 자칫 거래소가 ‘밸류를 끌어올리는 것’처럼 주도하는 오해의 소지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