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23년째 땅도 못 샀다"…원수에게 권할 '지옥주택'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최정희 기자I 2025.07.24 05:00:00

[원수에게 권한다 '지주택의 배신’]①
1980년대 '내 집 마련' 꿈 줬던 지주택
서울 지주택 10건 중 1건만 착공
지금은 '지옥주택조합', 파산·연락두절도 상당
폐지론도 제기…"토지 없는데 조합원 모집 자체가 위험"

[이데일리 최정희 박지애 기자] 서울 노원구의 한 지역주택조합(이하 지주택)은 2003년 조합설립인가를 받았지만 23년째 토지 한 평조차 확보하지 못했다. 영등포구의 한 지주택은 2016년 조합원 모집신고를 하고 토지를 전체 계획 면적의 40% 가량 확보했지만 아직까지 조합설립인가를 받지 못했다.

일러스트=챗GPT4.o, 달리3
1980년 저렴한 비용으로 내 집 마련의 꿈을 줬던 지주택이 지금은 ‘지옥주택조합’으로 불릴 만큼 사기 등의 오명으로 얼룩지고 있다. 애초에 토지를 확보하지 않은 상황에서 조합원을 모집할 수 있도록 한 지주택 제도 자체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주택은 사업장에 지분투자를 하는 투자 상품인데 마치 일반 분양을 받을 수 있는 제도로 오인되면서 투자 사기 피해마저 속출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지주택에 대한 근본적 제도 개선을 촉구하고 있지만 일각에선 폐지가 답이라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23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 지주택 10건 중 1건만 착공에 성공했을 정도로 성공률이 낮다. 작년말 기준 서울 지주택은 118개인데 이중 착공에 돌입한 곳은 14곳(11.9%)에 불과하다. 서울 지주택 중 조합이 파산하거나 모집을 중단하거나 연락이 두절되거나 업무대행사 대표가 징역형을 선고받는 등 조합이 제대로 운영되지 못한 사례도 9개나 됐다.

이는 전국적으로 살펴봐도 마찬가지다.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전국에서 추진 중인 지주택 사업장은 총 618개로 조합 설립이 이뤄지지 않은 ‘모집신고 단계’에 있는 지주택이 316개, 전체의 51.2%에 달했다.

지주택은 무주택자의 주택 마련과 주택공급 촉진을 위해 1980년에 도입된 제도다. 청약 저축통장이 없어도 주택 매수 의사가 있는 주민들이 직접 조합을 결성하고 사업을 시행해 절감한 사업비로 일반 분양 대비 저렴한 가격에 내 집을 마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토지 확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사업이 진행되면서 사업 추진 자체가 불확실한 경우가 많아졌다. 첫 삽도 못 뜨고 모집신고 단계에 머무르는 것도 문제지만 착공을 해도 문제는 끝나지 않는다. 지주택은 ‘무조건 당첨, 시세 절반 내집 마련’ 등 과장된 광고로 시세대비 저렴하게 내집을 마련할 수 있다고 속여 조합원을 모집해놓고선, 입주 직전에 공사비를 평균 30% 이상 과도하게 추가해 논란이 되는 경우가 많다.

지주택을 통한 주택 공급 자체가 쉽지 않고 오히려 피해만 양산하고 있기 때문에 지주택 자체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지주택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는 사회적으로 필요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달라졌다”며 “중장기적으로 폐지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한민국에서 민간의 사유재산인 토지를 강제 수용할 수 있는 곳은 공공 부문밖에 없다”며 조합 등 민간의 토지 확보 자체가 쉽지 않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