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기재부 관계자는 7월 경제동향(그린북)에서 “경기 하방 압력이 대내 불확실성과 대외 불확실성 중 대내 불확실성은 이제 하방 압력으로 얘기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닌 것 같다”며 “글로벌 경제는 주요국 관세 부과에 따른 통상환경 악화 등으로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지속 및 교역·성장 둔화가 우려된다”고 했다. 경기 하방압력이 국내보다는 미 관세 등 대외적으로 더 강하단 분석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오는 29일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포함한 ‘7월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한다. 지난 4월 발표한 경제전망에서 IMF는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을 종전 2.0%에서 1.0%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IMF는 연간 4차례(1·4·7·10월)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한다. 4월·10월은 전체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주 전망이며 1월·7월은 주요 30개국 대상(우리나라 포함)으로 한 수정 전망이다.
미국이 다음 달 1일부터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데다 한국은 여전히 통상협의를 마무리하지 못했다는 점 등, IMF가 이 같은 상황을 반영한 전망치를 내놓을지 주목된다.
앞서 지난 23일 아시아개발은행(ADB)은 ‘2025년 7월 아시아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한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0.8%로 제시했다. 미 관세 영향을 반영한 것인데, 종전(4월) 전망치(1.5%)보다 0.7%포인트 낮은 것으로 아시아·태평양 주요국 가운데 가장 큰 폭의 하락이다. 이는 한국개발연구원(KDI·0.8%)·한국은행(0.8%)과 같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1.0%)·국제통화기금(IMF·1.0%)보다 0.2%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통계청은 31일 ‘6월 산업활동동향’을 발표한다. 2차 추경경정예산(추경) 집행을 앞두고 소비심리 회복세 영향으로 소비가 실제 늘었을 지 관심이다. 지난 6월 소비자심리지수(CSI)는 108.7로 2021년 6월(111.1) 이후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5월에는 산업 생산과 투자가 전월 대비 동반 감소했다. 소매판매는 내구재와 준내구재 소비는 늘었지만 비내구재 소비가 감소하며 전월 대비 보합세를 보였다. 전달 산업활동동향이 트리플 감소를 기록한 기저효과에도 불구하고 약세 흐름을 이었다.
기재부는 같은 날 ‘6월 국세수입 현황’을 공개한다. 5월 국세수입 현황에 따르면 올해 1~5월 세수는 172조 3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조 3000억원(14.1%) 늘어난 수치다. 하지만 정부의 올해 국세수입 예산 대비 실제 걷힌 세금을 뜻하는 세수진도율은 45.1%로 최근 5년 평균(46.2%)을 밑돌았다.
통계청은 29일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지난해 기준 인구 구성과 가구·주택 현황과 관련된 통계치가 공개된다.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보면 2023년 65세 이상 내국인 고령인구는 950만명으로 전년 대비 5.0% 증가했다. 외국인을 포함한 고령인구는 961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8.6%를 차지했다. 반면 유소년인구(0~14세)는 562만명으로 4.1% 감소했고,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3655만명으로 0.4% 줄었다. 유소년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를 의미하는 노령화지수는 171.0으로 전년 대비 14.9포인트 상승했다.
다음은 기재부, 통계청,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주간 주요 일정 및 보도 계획이다.
◇주간 주요 일정
△29일(화)
10:00 국무회의(장관, 서울)
14:00 복권기금 꿈사다리 장학사업 증서수여식(2차관, 과학기술컨벤션센터)
△30일(수)
14:00 공공기관운영위원회(2차관, 비공개)
△31일(목)
08:30 차관회의(2차관, 서울)
10:00 국제행사심사위원회(2차관, 비공개)
구윤철 부총리-스콧 베선트 美재무장관 ‘1+1’ 통상협상(예정)
◇주간 보도 계획
△28일(월)
12:00 2024년 생활시간조사 결과
18:00 민생안정지원단, 호우피해 애로사항 및 농업분야 재난기후변화 대응 정책 건의 청취
△29일(화)
09:00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12:00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전수) 결과
14:00 복권기금 꿈사다리 장학사업 증서수여식
22:00 국제통화기금(IMF) 7월 세계경제전망 발표
△30일(수)
12:00 2025년 재배면적(확정) 및 농작물생산량 조사 결과(보리, 마늘, 양파)
△31일(목)
08:00 6월 산업활동동향
11:00 6월 국세수입 현황
12:00 KDI 북한경제리뷰
△8월1일(금)
12:00 6월 온라인쇼핑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