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정과제에 이재명 대통령의 1호 공약인 ‘AI 3대 강국 도약’을 담고, 새정부의 5년간 경제 정책 청사진을 담은 새경방을 통해 구체적인 전략을 세우겠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당장 내년부터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AI 활용 서비스를 발굴한 뒤, 단계적으로 AI 시장을 키워나갈 계획이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범부처 차원에서 활용 가능한 사례를 적극 발굴할 것을 지시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를테면 한국남동발전이 올해 시범 도입한 ‘AI 순찰 로봇’을 동서·서부·중부·남부발전 등 5개 화력발전 공기업 현장으로 확대한다. 이는 AI를 기반으로 한 로봇이 발전소 현장을 누비며 발전기 과열, 안전모 미착용 등 현장의 위험 요소를 알리고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구윤철 부총리가 밝힌 대로 산업 현장 요소요소에 AI를 접목하겠다는 의지가 나타나는 정책이다.
앞서 구 부총리는 인사 청문회에서 “(AI의 산업 적용은) 조선업의 경우 용접 로봇에 AI를 적용하는 식으로 정확히 타깃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공공서비스를 중심으로 AI 활용도를 높여, AI 관련 시장 육성에도 나선다. 재정·제도적으로 공공기관의 AI 활용을 지원하고, 경영평가에서도 가산점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공공서비스에서 AI 활용도를 높인다. 정부 관계자는 “글로벌 대비 아직 국내 AI 활용 시장은 아직 규모가 크지 않다”며 “공공기관이 마중물이 돼 관련 시장 육성을 이끌 수 있도록 살펴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교육 과정에서 AI 활용도 대폭 확대한다.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AI 교육 과정을 운영해, 유치원생부터 AI 활용에 친화적인 문화를 만들기 위함이다. 또 제조업 등에서도 스마트팩토리 같이 AI를 접목할 수 있도록 재정 지원 등을 검토한다. 장기적으로는 ‘AI 100조 펀드’ 조성을 통해 AI 인프라 확충에도 나선다.
김명주 서울여대 바른 AI 연구센터장은 “다양한 AI 기술 개발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우선 사용자 층이 두터워져야 한다”며 “우선 교육, 연구분야 등 당장 AI를 활용할 수 있는 분야에 대해 시스템, 인력 등 지원을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높이는 게 우선”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