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이날 회의에서는 미국 현지에서 통상 협상을 진행 중인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화상으로 참석해 현장 상황을 공유했다. 두 사람은 2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 회담을 가졌다.
회담은 당초 워싱턴DC 상무부 청사에서 시작됐지만, 러트닉 장관의 초청으로 자택에서까지 이어졌다. 대통령실은 이번 협상에 대해 “우리 측은 미국 측의 조선 분야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했고, 양국 간 조선 협력을 포함한 상호 합의 가능한 방안을 마련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일본 역시 트럼프 대통령과의 담판 전 러트닉 장관 자택에서 최종 협상안을 조율한 바 있다. 김 장관과 여 본부장은 당초 25일 귀국 예정이었지만 추가 협상 필요성에 따라 일정을 연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남은 일주일 간 외교·경제 전 라인을 가동해 협상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방침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다음 주 중 구윤철 부총리와 조현 장관이 각각 미국의 베센트 재무장관과 루비오 국무장관과의 면담을 조율하고 있다”며 “조선·철강·자동차 등 민감한 분야가 얽혀 있는 만큼 정무·외교·통상 라인이 연계된 패키지 접근 방식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