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나 여론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대법원 강제동원 관련 판결을 부정하는 발언까지 추가로 드러나자 거취 변동 가능성을 열어뒀다.
한겨레에 따르면 강 비서관은 2018년 페이스북에 올린 것으로 추정되는 글을 통해 “위안부도 마찬가지지만 길거리에서 아무나 무작정 잡아간 것으로 여기기에는 일본인들의 태도가 너무도 존경스러운 수준”이라며 “나는 식민지 근대화론을 믿으며 강제징용이란 것을 믿지 않는다”고 했다.
강 비서관을 추천한 보수 인사는 정규재 전 한국경제 주필 등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 전 주필은 여러 언론과 인터뷰에서 “이 대통령이 국민 통합 차원에서 다른 생각을 가진 이를 쓰고 싶어 하기에 추천한 것”이라며 “만일 강 비서관을 공격해 무너뜨리면 다음에는 이런 실험이 불가능하다”고 했다.
또 강 비서관에 관한 보도 방향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그는 “지금 나오는 일부 언론이 벌이고 있는 것은 매우 잘못된 방향이고 이 대통령의 국민 통합이라고 하는 간절한 마음을 능멸하는 보도”라며 “‘진보만 국민이고 진보가 아닌 것은 다 틀렸다’ 이런 식의 보도는 굉장히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여당에서도 강 비서관에 대한 사퇴 요구가 나오기 시작했다. 더불어민주당 대표 선거에 출마한 정청래·박찬대(기호순) 의원이 ‘비상계엄 옹호 저서’로 논란이 된 강준욱 대통령실 국민통합비서관의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강 비서관이 오늘 오전 자진 사퇴 의사를 밝혔다”며 “자진 사퇴를 통해 자신의 과오에 대해 진심 어린 사과를 국민께 전하겠다는 뜻을 밝혔고, 이재명 대통령은 이에 수용해 국민 요구에 응답하고자 한다”고 했다.
강 대변인은 사퇴 배경에 대해 “국민통합비서관은 분열의 정치를 끝내고 국민 통합을 동력으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신설된 자리로, 이 대통령의 국민 통합 의지를 보여준다”며 “자신을 지지하지 않는 국민도 넓게 포용하겠다는 대통령 의지에 따라 보수계 인사 추천으로 임명했지만, 국민주권 정부의 국정철학과 원칙에 맞지 않는다는 국민 의견이 강하게 제기됐다”고 했다.
대통령실은 보수계 인사 가운데 후임 비서관을 임명할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