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서울시, 노을공원서 아트 파빌리온 공개…"흙·바람으로 제작"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최영지 기자I 2025.07.29 14:00:00

공공미술작품 ''새로운 지층'' 전시
"땅속 지층, 흙막이벽으로 구현"
"도시·자연·예술 공존 담은 예술 쉼터"

[이데일리 최영지 기자] 서울시는 마포구 노을공원에 새로운 공공미술작품 ‘새로운 지층’을 선보이며 도시의 상처를 치유하고 예술로 재탄생한 생태 공간을 시민들에게 공개했다고 29일 밝혔다.

노을공원 내 새로운 지층 전경 (사진=서울시)
이 작품은 서울시가 5대 생활권역별 공공미술 명소를 조성하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지난해 동남권 가락시장 ‘비의 장막’에 이어 서북권을 대표하는 두 번째 설치다. 국제지명공모를 통해 선정된 김효영 작가의 ‘새로운 지층’은 노을공원의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는 예술적 해석으로 ‘난초의 섬 → 쓰레기매립장 → 생태공원’으로 이어진 땅의 기억 위에 새로운 감각의 지층을 더했다.

발밑 지층이 지상으로 솟아오른 듯한 모습의 ‘새로운 지층’은 흙과 일곱그루의 나무, 식물, 돌을 소재로 했다. 사방이 열린 18m×18m 규모의 파빌리온 작품 속을 자유롭게 거닐며 노을공원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새로운 지층’은 자연소재를 활용해 그늘이 없는 노을공원에 꼭 필요한 휴식의 그늘이자 시민의 감성과 쉼, 자연과 예술이 공존하는 공공의 플랫폼이다. 누구나 이곳에서 자유롭게 앉아 쉬고, 풍경을 바라보며 자연의 온기를 느낄 수 있다.

선유도공원 내 그림자 아카이브 전경. (사진=서울시)
노을공원에서 바라보는 한강 양화대교 한가운데 위치한 선유도공원에서는 과거 물을 정화하던 공간 선유도를 예술적으로 재조명하고 시민이 작품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획된 작품 ‘그림자 아카이브’와 AR ‘선유동화’를 선보이고 있다는 게 서울시 설명이다.

최인규 서울시 디자인정책관은 “이번 노을공원과 선유도 공원에 공개한 공공미술 작품은 단순한 조형물을 넘어 장소의 역사, 자연환경, 시민의 쓰임을 예술로 포용하여 의미가 크다”며 “‘새로운 지층’과 ‘그림자 아카이브’가 낮과 밤에 공원을 찾는 시민들에게 아름다운 추억을 쌓아가는 장소이자 휴식의 순간을 제공하는 예술작품으로 활용되길 바란다”고 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