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선에 참여한 재외국민 66.37%(13만 6246명)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에 표를 던졌고 21.38%(4만 3893명)가 김문수 후보를 선택했다.
이는 이 대통령의 전체 대선 최종 득표율인 49.42%보다 16.95%포인트 높은 수치다. 반면, 김 후보의 재외 득표율은 본선 득표율 41.15%보다 19.77%포인트 낮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재외국민 투표에서 9.96%(2만 454표)를 얻었으며, 그 외 기타 후보 1.61%, 무효표 0.67%로 집계됐다.
재외투표는 지난달 20∼25일(현지시간) 118개국, 182개 공관, 223개 투표소에서 진행됐다.
2023년 기준 재외동포 수는 708만명, 투표가 가능한 18세 이상 재외선거권자는 197만4천375명이다. 이번 대선을 위해 등록한 유권자는 25만8천254명으로, 이 가운데 20만5천268명이 실제 투표에 참여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통계상 등록유권자 수를 기준으로 투표율을 계산하면 역대 최고인 79.5%이지만, 전체 재외선거권자로 범위를 넓히면 10.4%에 그친다.
이 대통이 취임하면서 대선 공약에 포함된 재외국민 우편투표제 도입에 대한 동포사회의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이메일이나 우편으로 유권자 등록은 가능하지만, 투표하려면 재외공관 등 원거리 투표소로 가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 제도를 개선하자는 목소리는 꾸준히 이어져 왔다.
각국 재외국민 유권자들로 구성된 ‘재외국민유권자연대’는 2021년 9월 20대 대선을 앞두고 출범하면서 우편투표제 도입 등을 촉구하며 국회에 국민 청원을 내면서 주목받았다.
당시 윤석열 후보와 경쟁했던 이재명 후보는 ‘재외동포 정책 대전환’을 내세우며 “재외동포의 참정권 보장을 위한 우편투표제를 도입하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하지만 우편투표의 신뢰성 등을 이유로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도 여전하다.
이와 관련, 대리투표나 허위신고 문제, 국가별 우편 시스템의 불안정성에 따른 분실 및 배달 지연 등이 우려된다는 정치권 일각의 지적도 나온다.
동포사회는 이런 상황을 잘 아는 이 대통령이 우편투표제 도입을 공약했기 때문에 이번에는 구체적인 논의가 이뤄지고 법 개정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세계한인총연합회 관계자는 “재외투표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우편투표나 전자투표 도입 등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며 “모국의 큰 자산인 재외국민과 상생할 수 있도록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