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윤 부부 압수 영장에 ‘배달앱 사용 내역’ 들어간 이유...왜?

홍수현 기자I 2025.05.07 06:27:42

동호수 등 실거주지 파악 용이
''건진 수사''에 적극 활용

[이데일리 홍수현 기자] 지난달 30일 윤석열 전 대통령 사저 압수수색 당시 영장의 압수 대상 목록에 ‘배달앱 사용 내역’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나 배경에 관심이 모인다.

윤석열 전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11일 차를 탄 채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떠나고 있다. 차량은 윤 전 대통령 부부의 사저(서초구 서초동 아크로비스타)로 향하고 있다. (사진=뉴스1)
이 사실은 당시 현장에 입회한 변호인들을 통해 공개됐다. 검찰이 윤 전 대통령이나 김건희 여사가 언제 어떤 음식을 어디로 배달시켰는지를 확인하려 한 것으로 보이는 대목이다.

윤 전 대통력 측은 이에 대해 ‘망신 주기’라며 즉각 반발했다. 그러나 검찰은 이번 건진법사 의혹을 수사하며 주요 인물들의 실거주지 확인을 위해 배달앱 사용 내역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실제 ‘건진법사’ 전성배(65) 시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전씨의 2018년 지방선거 공천 청탁 의혹에 연루된 사업가 A씨를 압수수색 할 때, 그의 측근이 배달앱으로 음식을 주문하며 입력한 주소지를 활용한 것이 그 사례다.

A씨의 경우 집이 서울과 지방에 각각 있는 데다, 수사망을 피해 가려 한 정황도 포착돼 자칫 수사에 난항을 겪을 수 있는 상황이었다.

휴대전화 위치 추적으로 실시간 소재지를 파악할 수 있지만 이는 휴대전화를 꺼버리면 무용지물인 단점이 있다. 또 추정범위가 넓어 아파트 단지 등 밀집한 공간에선 큰 효과를 보기 어렵다.

반면 배달앱은 스스로 층·호수까지 입력하기 때문에 실거주지를 추정하는 데 유리하다.

한 검찰 출신 변호사는 “과거에는 피의자의 아파트를 답사하고 우편물 명의를 확인하거나 실제 운용하는 차량을 찾아보곤 했다”며 “이제는 IP 주소나 카드결제 내역, 나아가 배달앱 정보까지 동원한다”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배달의민족, 쿠팡이츠, 요기요 등 국내 대표 배달앱 3개 사의 월간 사용자는 3750여만명으로 전 국민의 약 70%가 이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달앱 관계자는 “검찰뿐 아니라 법원에서도 양육비 소송 당사자의 소재 파악을 위해 주소를 요청하는 경우가 있다”며 “영장 등 적법한 절차에 협조하고 있다”고 전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