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급박한 현장에서 승객들이 비상 슬라이드를 타고 기체 밖으로 대피하는 가운데, 여행용 가방까지 들고 내려온 사람들의 모습이 보였다.
한 승객은 “짐이 뭐가 필요 있냐, 일단 살아야지 (하면서) 욕밖에 안 했다. 칸이 좁은데 2~3명씩 비집고 나가려고 하니까… 사람들은 옆으로 튕겨 나가고 넘어지려고 했다”고 한 매체를 통해 말했다.
기내 선반 보관함에서 자기 짐을 빼내려다 빠져나가려는 승객들과 뒤엉키며 가뜩이나 좁은 동선을 막아버린 사람들이 있었다는 거다.
실제 지난 2019년 5월 5일(현지시각) 78명 중 41명이 숨진 러시아 여객기 화재 사고 당시, “일부 승객이 공황 상태에서 기내 수하물 칸에 있던 짐을 찾으려고 통로를 막아 여객기 뒤편 승객들의 탈출이 지연됐고 결국 그들이 불 속에서 숨졌다”는 증언이 나오기도 했다.
승무원 안전 수칙을 보면 승객들이 짐을 포기하고 신발은 벗은 채 슬라이드를 타도록 해야 한다. 수하물을 비롯해 구두 등이 슬라이드와 같은 연약한 간이 구조물을 훼손시켜 추가 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승객들은 승무원의 안내가 없어 직접 비상구를 열었다고 증언했다.
이에 대해 정윤식 가톨릭관동대 항공운항학과 교수는 31일 CBS 라디오에서 “굉장히 위험하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기다리는 승객 입장에선 왜 (승무원이) 모르고 있는 거 아닌지 착각할 수 있다. 그러나 조종석에선 관제사랑 교신하면서 구조 인력을 보내달라던지, 기내 화재 또는 탈출을 위한 절차를 계속 시행하고 있다. 이런 절차가 빠르면 2분, 길면 3~5분까지 소요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문을 잘못 열면 엔진으로 사람이 빨려 들어갈 수도 있다’는 지적에 대해 정 교수는 “보통 (기체가) 지상에 있을 경우 엔진이 가장 저속 상태에 있기 때문에 50~60㎏ 되는 분들은 그 앞에 바로 가기 전까지 빨려 들어갈 수 있다”며 “또 슬라이드는 엔진 바로 앞과 뒤쪽에 설치돼 있는데, 일종의 고무 튜브로 가볍다. 웬만한 바람에도 밀릴 정도이기 때문에 엔진이 걸린 상태에서 바람이 정풍에 있다면 슬라이드가 엔진 쪽으로 흐르면서 실제 사람도 그쪽으로 떨어질 수 있다. 휴대전화나 갖고 있던 것들이 떨어지면서 엔진 쪽으로 빨려 들어가면 마치 조류 충돌을 일으킨 것처럼 엔진 뒤쪽에서 불꽃이 나와 슬라이드로 내려가는 사람한테 화상을 입힐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실제 공중이나 지상에서 화재가 났을 경우 연기 때문에 바닥을 기어가야 하는 상황도 있고 노약자나 부상자도 있기 때문에 90초 룰을 지킬 수 없는 상황이다. 지난 일본 하네다 사고도 약 18분의 탈출 시간이 걸렸다. 비교적 항공 사고에서 1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 건 일반적인 사항”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사고기 승무원들을 상대로 비상 사고 매뉴얼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했는지 등을 조사할 예정이다.
또 유력 화재 원인 가운데 하나로 추정되는 기내 선반 내 수하물 중 보조배터리에 대해서는 인과관계가 밝혀지면 기내반입 물품 규정 강화를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