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에 따르면 산불 직후 경북·경남 8개 시군의 관광소비는 전년 동기 대비 평균 13.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송군(-40.1%), 안동시(-34.9%), 영덕군(-33.4%) 등 관광의존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소비 감소폭이 컸다. 특히 청송군의 숙박업 소비는 75.4% 급감했는데, 이는 주왕산 국립공원 탐방로 통제로 인한 관광객 급감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분석된다. 반면 관광의존도가 낮은 영양군(-5.5%), 의성군(-4.0%) 등은 상대적으로 완만한 감소폭을 보였다.
하지만 4월에는 범정부 차원의 재난복구 지원과 자원봉사자 방문, 공공기관 워크숍 및 MICE 행사 유치가 일부 지역에서 소비 회복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안동시와 영덕군의 숙박업 소비는 4월 둘째 주 전년 대비 각각 124.0%, 107.1% 증가했다. 이 같은 외부 체류수요 유도는 재난 초기 관광소비 위축을 완충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됐다.
이후 5월 초 연휴(4월 28일~5월 4일)를 기점으로 관광소비는 일시 반등했으며, 산불 발생 10주 후인 6월 초(6월 2~8일)부터는 본격적인 회복세로 진입했다. 연구원은 여름 성수기인 7~8월을 통해 회복세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이번 분석은 산불과 같은 재난 발생 시 피해 규모는 단순한 산불의 크기나 피해면적이 아니라 관광지 입지, 산업 비중, 관광객 유입 특성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연구원은 관광소비 회복을 위해서 SNS와 유튜브·포털·여행 플랫폼 등 다양한 디지털 채널을 활용한 캠페인, 온·오프라인 연계 마케팅, 여행 할인 프로모션, 지역 특화 관광프로그램 개발 등 다층적인 회복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세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장은 “산불과 같은 재난으로 인한 관광소비 위축을 최소화하고 회복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기반의 선제적 대응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연구가 재난 대응 관광정책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