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명박 대통령이 당선된 후 이듬해인 2008년 교육과학기술부와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 관계부처에선 과학벨트 추진지원단이 출범했고 2009년에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종합계획을 심의·확정해 과학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국회에 제출했다.
그러나 충청권 공약으로 시작했지만 당시 정부는 전국 공모로 전환, 충청권을 비롯해 경기도와 영·호남 등 전국 지자체들이 과학벨트 유치전에 가세했다. 과학벨트 특별법도 여·야 대립으로 법안이 바로 통과되지 못한 채 표류하는 등 정쟁과 갈등의 핵으로 지목받았다. 여러 난관을 거쳐 마침내 2011년 5월 과학벨트 거점 지구로 대전의 대덕연구개발특구가 지정됐다. 이후 2014년 과학벨트 거점지구 개발 실시계획승인 고시, 2015년 관계기관 업무협약 체결 등을 거친 뒤 2016년 착공에 들어갔다.
착공 10년 만인 올해 대전시는 과학벨트 거점지구(신동·둔곡)의 4단계 구간에 대해 준공을 승인했다. 최종 준공은 오는 10월이다. 이 사업은 총 5단계로 나뉘어 순차적으로 진행된 가운데 이번 4단계 준공은 핵심 기반시설이 본격적으로 가시화된 성과로 평가된다.
현재까지 전체 부지의 약 88%가 분양됐으며 전체부지 345만㎡ 중 305만㎡가 공급 완료돼 112개 기업·기관이 입주 계약을 체결하거나 입주를 준비 중이다. 이 가운데 중이온가속기(RAON), 충남대 등 주요 연구기관과 함께 첨단소재·바이오 분야의 선도 기업들도 입주하고 있다.
사업이 완료되면 345만㎡ 규모의 첨단산업단지가 조성돼 대전시의 산업용지 공급 목표를 조기 달성하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대전시는 남은 구간 준공까지 LH(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해 개발이익금을 지역 내에 재투자할 수 있도록 긴밀히 협의할 방침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오랜 기간 추진해온 과학벨트가 9부 능선을 넘어섰다”며 “남은 사업도 차질 없이 마무리해 시민과 기업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성과로 이어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