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회의는 대전·충남 행정통합의 당위성과 전략적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통합 추진에 대한 공동의 의지를 다지는 계기가 됐다는 점에서 뜻깊은 시간이 되었다.
그간 민관협의체는 ‘대한민국 경제과학 수도, 대전충남특별시’라는 비전 아래 인구 전국 3위, 지역내총생산 3위, 수출 2위의 경쟁력을 갖춘 특별시 조성을 목표로 통합의 토대를 꾸준히 마련해 왔다.
올해 3월 ‘제3차 회의’ 이후에는 발굴 특례의 실효성을 강화하는 작업에 집중해 왔다.
특히 재정권 강화를 위해 재정 특례 부문에서 대구·경북 특례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국세 교부 비율을 상향하는 등 특별시 연간 추가 재정 확보액을 기존 3조 3693억원에서 8조 8774억원 수준으로 확대했다.
또 3개월여 만에 개최된 이날 회의에서는 공론화를 위한 시·도민 소통 방안과 법률안 국회 제출 절차 및 일정 등이 논의됐다.
민관협의체는 통합 추진의 정당성 확보와 공감대 형성을 위한 시·군·구(15개 시·군, 5개 자치구) 주민설명회를 이달 중 순회 개최할 예정이다.
이번 설명회는 시·군·구 의원, 공무원, 각계 전문가, 지역 리더 및 지역민 등이 참여하는 토크콘서트(또는 라운드토크) 형식으로 개최될 예정이며, 현장 질의응답도 추진해 생생한 주민의 목소리를 들을 계획이다.
이에 더해 민관협의체는 언론매체 홍보, 양 시·도의회 합동 토론회, 전문가 포럼·세미나 개최, 캠페인 광고, 유튜브·쇼츠 공모전 개최 등 다양한 채널을 활용한 홍보 활동을 전개하기로 했다.
이어 통합 법률안에 대해 전문가 검토를 거친 뒤 범정부 지방행정 체제 개편 지원단과의 협조 체계를 구축해 중앙 부처별 대응 전략을 모색하기로 뜻을 모았다.
앞으로 일정을 보면 내달 중 양 시·도 의견 청취 절차를 거쳐 특별법을 정기 국회에 상정해 성안 과정을 거친 후 연내 통과할 수 있도록 대응하겠다는 목표이다.
이창기·정재근 공동위원장은 “시·도민 공론화 작업 등 민관협의체의 홍보 활동에 제약이 있었지만 감사하게도 여론조사에서 절반이 넘는 시·도민이 대전·충남 행정통합에 찬성했다”며 “민관협의체 위원들과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당초 목표한 바와 같이 연내 특별법 통과, 내년 7월 ‘대전충남특별시’ 출범이라는 최종 목표를 이뤄 나가겠다”는 의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