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김민석 “처가서 2억 이상 받아”…국가 예산·채무 질문엔 ‘틀린 답’(종합)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김미영 기자I 2025.06.24 17:46:58

총리 후보자, 국회 인사청문회 첫날
김민석, 재산증식 의혹에 소명…野 “자료제출하라”
결격사유 공세에도 ‘조목조목’ 응수
“한국, 총체적 위기” 진단…예산·채무비율 질문엔 ‘당황’

[세종=이데일리 김미영 강신우 권효중 기자]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는 예상대로 재산 형성 과정의 의혹이 최대 쟁점으로 다뤄졌다. 김 후보자는 재산 문제를 포함해 국민의힘이 주장한 ‘10대 결격사유’에 조목조목 반박하며 의혹이 사실과 다르단 입장을 고수했다.

그러나 야당은 관련 자료제출이 부실하고 증인·참고인 채택이 무산돼 ‘깜깜이, 묻지마 청문회’로 전락했다며 자진사퇴를 거듭 촉구했다.

‘6억 출처’ 소명…野, 자료제출 ‘부실’ 질타

국회 인사청문회에 출석한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사진=노진환 기자)
김 후보자는 국회 인사청문회 첫날인 24일 논란이 된 ‘6억원’ 자산 증식 경위를 밝혔다. 그는 “(빙부상) 부의금이 한 1억 6000만원 정도 되는 것 같다”며 “2회의 출판기념회는 한 번이 1억 5000만원, 그 다음이 1억원 정도”라고 했다. 이어 “추징금을 내면서 아내는 생활비에 굉장히 어려움을 겪었고 그래서 (처가에서) 생활비로 200만원, 300만원씩 쭉 받은 것이 제법 된다”며 “그렇게 해서 받은 게 2억원 이상 되는 것 같다”고 했다. 이들을 다 합하면 6억 1000만원가량이다.

김 후보자는 최근 5년간 국회의원 세비 등 수입을 5억여원으로 재산 신고했으나, 과거 불법 정치자금 수수 사건으로 인한 추징금 완납 등 이 기간에 약 13억원을 지출했다. 국민의힘은 전처가 부담했다는 자녀 유학비용 2억원을 제외한 6억원의 출처가 불분명하다며 맹공해왔다.

국민의힘은 의심의 눈길을 거두지 않았다. 주진우 의원은 김 후보자 자녀의 미국 코넬대 유학자금을 두고도 “전 배우자가 전액을 냈다고 해명했지만, 확인을 요청하자 ‘장남에게 송금된 외국환 신고 내역이 없다’고 한다”며 “도대체 학비랑 생활비는 어떤 경로로 전달이 된 것인가”라고 따졌다.

이종배 인사청문특위 위원장은 김 후보자가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거나 청문회에서 답변하겠다는 이유로 전체 요구자료 중 73.3%를 제출하지 않았다고 질타했다.

김 후보자는 야당의 거듭된 자료제출 요구엔 명확히 답을 않으면서 역공에 나서기도 했다. 그는 “사실이 아님이 명료해졌음에도 ‘6억원을 쟁여놓고 현금으로 썼다’는 방식으로 문제를 제기한 것에 대해선 적어도 사과나 해명하고 후속 질문하는 게 적절하지 않나”고 야당을 비판했다.

그러면서 재산 문제 외에도 국민의힘이 제기한 의혹들에 “다 소명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반복했다. 아들이 고교 시절 모의 발의한 교육기본법안과 유사한 법안을 국회에서 공동발의해 불거진 ‘아빠 찬스’ 논란엔 “아들의 대학 입학 원서에 이를 쓰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내가 얘기했다”고 해명했다. ‘중국 칭화대 석사학위’ 취득 논란엔 “칭화대가 허위로 학위를 줄 수 있는 대학이 아니다”고 응수했다.

“경기 활로 시급…속도감 있는 정책추진”

한편 김 후보자는 인사청문회 모두발언을 통해 현재의 경제상황에 대한 위기 의식을 거듭 드러냈다.

그는 “슈퍼 복합 넛크래커 상황 속에서 IMF(외환위기) 상황 때보다 더 힘든 총체적 위기 상황이 올 수 있다는 우려가 현실로 다가왔다”고 진단했다. 한국이 호두 까는 기계에 끼인 호두처럼 생존 위기에 몰렸단 판단이다. 그러면서 속도감 있는 정책 추진을 약속하며 “국민 살림을 살피고 경기의 활로를 여는 것이 시급해, 고물가와 불경기로 어려워진 민생 살리기부터 시작하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한국의 나라살림 상황에 관한 질문엔 제대로 답하지 못했다. 673조원 규모인 정부의 올해 본예산 규모를 묻는 김희정 국민의힘 의원의 질문에 “지금 추계를 다시 해야 하는 상황”, “정확한 숫자까지 말씀드려야 하느냐”고 답변을 피했다. 추계는 세수(稅收)에 적용될 뿐 예산과는 무관하다.

국가 채무비율에 관한 질문에도 “다른 나라 평균에 비해서 높다고 보는 경우도 있고, 낮다고 보는 경우도 있다”고만 답했다. 그는 답변 요구가 거듭되자 “한 20%에서 30% 사이로 알고 있다”고 틀린 답을 내놨다. 국가채무비율은 지난해 기준 44.8%였고 올해 35조원 규모의 1·2차 추가경정예산이 집행되면 49.0% 수준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는 25일까지 진행된다. 이후엔 국회 본회의 표결로 국회 인준 절차를 밟게 된다. 총리 인준안의 가결 요건은 재적 의원 과반 출석에 출석 의원 과반 찬성으로, 167석을 가진 민주당 단독으로도 인준이 가능하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