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한국 주식·아파트 살래”…왕서방 ‘35조원’ 베팅한 이유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이정윤 기자I 2025.07.25 15:38:30

올해 6월 중국 국내주식 투자금 35조원 돌파
기업 투자 5년만 ‘최대’·수도권 아파트 매매 러시
中경기침체 장기화에 높은 수익의 한국 인기
美자금 쏠림 완화…국내서 中영향력 확대 우려도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중국인들의 국내 주식투자 금액이 35조원을 넘어서면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왕서방’으로 불리는 중국의 큰손 투자자들이 국내 부동산에 이어 주식 투자로도 눈을 돌리는 모양새다. 우리나라에 대한 해외 투자가 다변화 되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규제를 받지 않는 외국인 투자자의 비중이 늘어나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中, 주식·아파트·직접투자까지

25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중국의 국내 주식투자 잔액은 올해 6월 기준 35조 1000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로 집계됐다. 2022년 말 21조 1000억원에서 3년새 14조원이 늘어난 것이다. 이 기간 연평균으로는 19.2% 증가해, 이전 5년간의 평균 증가율(3.2%)를 크게 상회했다.

국내 기업 등에 투자하는 직접투자(FDI)도 크게 늘었다. 지난해 한국에 대한 중국의 직접투자 규모는 전년대비 94.4% 증가한 124억 2000만달러로 5년 만에 가장 큰 규모다.

중국인의 한국 부동산 사랑은 여전했다. 2020년부터 2025년까지 최근 5년간 외국인의 국내 부동산 투자 비중은 중국이 47% 달해, 1위를 지속하고 있다. 이 기간 연평균 등기 건수는 1만 2368건으로 2위인 미국(7454건)의 두 배에 달한다.

특히 아파트 투자 쏠림이 심했다. 아파트의 연평균 등기 건수는 8913건(64%)으로, 중국의 전체 부동산 투자 중 72.1%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80% 이상 집중됐다.

사진=국제금융센터
中 경기침체 장기화에 ‘높은 수익’ 찾아

이처럼 중국 자금이 국내 시장으로 거세게 유입되고 있는 이유로 중국 내의 ‘낮은 수익률’, ‘시장 개방 확대’를 원인으로 꼽는다.

중국은 코로나19 이후에도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부동산, 주식, 금리 등 자산시장의 수익률이 꾸준히 낮아졌다. 이에 해외 대체 투자처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면서, 보다 경제 상황이 좋은 한국을 투자처로 삼은 것이다.

중국 정부의 자본시장 개방으로 투자 주체가 다양화 됐다는 점도 있다. 그동안에는 금융기관, 펀드사 등 정부에서 허가된 기관을 중심으로 투자가 이뤄졌지만, 현재는 사모펀드 등으로 신규 투자 주체가 확대됐다. 이들의 투자허용 한도도 증가했고, 투자 대상도 기존의 주식 위주에서 비상장기업, 헤지펀드, 파생상품, 예술품 등으로 범위가 넓어졌다.

중국 본토와 홍콩 간 자본시장 개방 확대로 홍콩을 경유한 투자 유입도 급증했다. 이밖에 텐센트, 알리바바 등 중국 테크기업의 주도로 한국의 K컨텐츠, 게임, 엔터테인먼트로 지분 투자도 확대되고 있다.

투자 다변화 기대…中 영향력 확대 우려도

앞으로도 국내주식으로 중국 투자가 지속된다면 미국 등 선진국에 집중된 외국인 증시 투자자 다변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중국 자금 비중이 높아지면 미국 경제 충격이 왔을 때, 우리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이 완화될 수도 있다. 엔터 산업 등에 있어 중국자금의 유치를 통한 중국시장 진출 경로 등으로도 활용 가능하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반면 중국 자금이 우리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는 만큼, 부정적인 영향도 만만치 않다.

이미 국내 부동산 시장에서는 중국인의 매매로 인해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 정부는 서울의 치솟는 집값으로 인한 가계부채 확대를 막기 위해 정책을 발표했다. 하지만 이 사이 규제 영향권을 벗어난 외국인들이 강남 아파트와 같은 고가 주택을 적극적으로 사들이면서 집값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달 1~17일 서울 지역 집합건물 소유권 이전 등기를 신청한 외국인은 120명으로, 한 달 전에 비해 23.7% 늘었다. 이 가운데 중국인이 57명으로 가장 많았다. 전월 같은 기간 40명에서 42% 급증했다. 반면 이 기간 내국인의 부동산 매입 건수는 9950건에서 7541건으로 25%가량 줄었다.

이치훈 국금센터 신흥경제부장은 “중국 전체 가구의 재산에서 부동산 비중은 75~80%로, 우리나라와 비슷한 부동산 애착 문화가 있다”며 “중국에서는 부동산을 취득한 경우 건물만을 소유하고 토지는 국가 재산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건물, 토지 모두 소유할 수 있기 때문에 중국인들에게 더 매력적인 투자처”라고 설명했다.

이 부장은 “중국 경제와 정책이 미치는 파급력이 기존 실물경제에서 금융분야로 커지면서 투명성 약화, 기술 유출, 부동산 투기 등 부작용을 적극 경계할 필요가 있다”며 “한국에 실거주하는 외국인인지 확인하는 등 부동산 투기성 자금에 대한 면밀한 기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