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30억 날렸다' 평가 속…이준석, 대선 완주로 '대안 보수' 존재감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김한영 기자I 2025.06.04 15:39:03

당초 목표인 두자릿수 대 지지율 진입은 좌절
'단일화' 없이 완주엔 고평가…향후 토대 마련
보수층 '이재명 당선 책임론' 달래기는 남은 과제

[이데일리 김한영 기자]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가 최종 득표율 8.34%(291만 7523표)를 얻으며 선거비용 보전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 당초 목표로 삼았던 ‘두 자릿수 지지율’ 진입이 좌절된 점은 뼈아프지만, 단일화 없이 대선을 완주한 데 대한 정치권의 평가는 대체로 우호적이다. 일각에서는 독자 완주로 개혁신당과 후보 본인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개혁신당 이준석 의원이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21대 이재명 대통령 취임선서식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4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준석 후보는 제21대 대통령 선거에서 8.34%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공직선거법 제122조 제2항에 따르면, 선거비용을 전액 보전받기 위해서는 15% 이상, 절반을 보전받기 위해서는 10% 이상의 득표율이 필요하다. 이 후보는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서 선거에 사용한 약 30억 원의 비용 전액을 직접 충당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다만, 개혁신당 측은 이에 대해 “후원금과 기탁금 등을 통해 당내 재정으로 충당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두 자릿수 득표율은 단순한 비용 보전 기준을 넘어 개혁신당 내부에서도 전략적 목표로 설정했던 수치다. 개혁신당은 두 자릿수 지지율을 통해 최소 절반의 선거비용 보전은 물론, 대선 패배 후 국민의힘을 대체할 ‘대안 보수’로서 입지를 굳히겠다는 구상을 갖고 있었다.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도 이 후보가 “15%에 육박할 것”이라며 기대감을 내비친 바 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마의 10%’에 1.66%포인트(p) 부족했다. 내부적으로도 TV 토론 후반 국면에서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한 점이 뼈아픈 대목으로 평가된다. 특히 막판 여론조사 공표 직전 이 후보가 언급한 ‘젓가락 논쟁’ 등은 지지율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 요소로 꼽힌다.

‘단일화 거부’도 대선 국면 내내 이 후보의 정치적 갈등 축이었다. 가장 먼저 대통령 후보로 등록했지만, 대선 정국이 본격화되면서 국민의힘은 이재명 후보를 저지하기 위한 ‘반이재명 빅텐트’를 주장하며 단일화를 압박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물론 권성동 원내대표까지 선거 전날까지도 이 후보의 사퇴를 전제로 한 단일화를 촉구했다.

다만, 정치권에서는 이번 선거 결과를 놓고 절반의 성공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이 후보의 입지를 묻는 질문에 “기준점은 5%로 보고 있다. 5%가 넘으면 선전, 10%가 넘으면 성공이다”라며 “개혁신당 지지도와 비교하면 개인 역량으로 지지율을 확보했고, 현재 당원 수도 11만명 정도로 증가했기 때문에 이 정도면 선전했다”고 평가했다.

이 후보 역시 전날 출구조사 발표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번 선거를 통해 개혁신당은 총선과 대통령 선거를 완주한 정당으로 자리매김했다”며 “당의 역량을 키워 1년 뒤 지방선거에서 개혁신당이 약진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단일화 불발에 따른 보수 유권자들의 아쉬움은 여전히 과제로 남는다. 지난 대선에서도 심상정 정의당 후보가 단일화를 거부하면서 윤석열 전 대통령이 당선됐고, 이후 범진보 층 유권자 이탈 탓에 정의당은 22대 총선에서 원내 진입에도 실패한 전례가 있다. 이번 대선 결과가 개혁신당에 미칠 중장기적 영향은 앞으로 총선·지방선거에서 더욱 분명해질 전망이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제21대 대선

- 오세훈 “대선 불출마 아쉽지만 잘못된 결정 아냐” - 오세훈 “빈의 공공임대주택 공급 가장 인상 깊어” - "개혁신당과 합당도" 오세훈, 국힘 쇄신 낙제점…"몸부림쳐야"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