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 자릿수 득표율은 단순한 비용 보전 기준을 넘어 개혁신당 내부에서도 전략적 목표로 설정했던 수치다. 개혁신당은 두 자릿수 지지율을 통해 최소 절반의 선거비용 보전은 물론, 대선 패배 후 국민의힘을 대체할 ‘대안 보수’로서 입지를 굳히겠다는 구상을 갖고 있었다.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도 이 후보가 “15%에 육박할 것”이라며 기대감을 내비친 바 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마의 10%’에 1.66%포인트(p) 부족했다. 내부적으로도 TV 토론 후반 국면에서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한 점이 뼈아픈 대목으로 평가된다. 특히 막판 여론조사 공표 직전 이 후보가 언급한 ‘젓가락 논쟁’ 등은 지지율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 요소로 꼽힌다.
‘단일화 거부’도 대선 국면 내내 이 후보의 정치적 갈등 축이었다. 가장 먼저 대통령 후보로 등록했지만, 대선 정국이 본격화되면서 국민의힘은 이재명 후보를 저지하기 위한 ‘반이재명 빅텐트’를 주장하며 단일화를 압박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물론 권성동 원내대표까지 선거 전날까지도 이 후보의 사퇴를 전제로 한 단일화를 촉구했다.
다만, 정치권에서는 이번 선거 결과를 놓고 절반의 성공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이 후보의 입지를 묻는 질문에 “기준점은 5%로 보고 있다. 5%가 넘으면 선전, 10%가 넘으면 성공이다”라며 “개혁신당 지지도와 비교하면 개인 역량으로 지지율을 확보했고, 현재 당원 수도 11만명 정도로 증가했기 때문에 이 정도면 선전했다”고 평가했다.
이 후보 역시 전날 출구조사 발표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번 선거를 통해 개혁신당은 총선과 대통령 선거를 완주한 정당으로 자리매김했다”며 “당의 역량을 키워 1년 뒤 지방선거에서 개혁신당이 약진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단일화 불발에 따른 보수 유권자들의 아쉬움은 여전히 과제로 남는다. 지난 대선에서도 심상정 정의당 후보가 단일화를 거부하면서 윤석열 전 대통령이 당선됐고, 이후 범진보 층 유권자 이탈 탓에 정의당은 22대 총선에서 원내 진입에도 실패한 전례가 있다. 이번 대선 결과가 개혁신당에 미칠 중장기적 영향은 앞으로 총선·지방선거에서 더욱 분명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