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제안에는 △국내 대기업들의 대미 투자 약 1000억달러+α(신규) △현대차의 210억달러 규모 투자(기존) △ 한화솔루션의 23억달러 태양광 투자(기존) 등 투자 외에도 △한국수출입은행, 산업은행 등 국책금융기관을 통한 정책금융지원 △미국이 요구해온 디지털 시장 개방 효과까지 포함된 것으로 전해진다. 우리 정부는 미국이 요구해온 지도 및 클라우드 서비스 등 디지털 시장 개방 효과까지 간접 투자로 계상해 미국 측 수용을 끌어내겠다는 복안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정량·정성적 투자 효과를 최대한 부각시켜 미국 측을 설득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조선 분야 협력도 핵심 패키지 중 하나다. 미국 해군과 연방정부가 향후 발주하는 선박 물량을 한화오션·삼성중공업·HD현대중공업 등이 최대한 건조하는 방안이다. 당초 우리 정부는 조세 인센티브 제공 등을 놓고 협의를 했지만, 일단은 최대한 선박 건조 및 투자 계획을 먼저 제시한 뒤 추후 논의하는 방식으로 전환한 것으로 전해진다.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50% 관세 완화도 논의 대상이지만, 일본·EU 사례를 고려해 이 카드는 당장은 꺼내지 않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민감한 시장 개방 사안인 쌀과 쇠고기 분야는 최후의 협상 카드로 남겨둔 것으로 알려졌다. 농·축산 시장 추가 개방은 국내 정치적 부담이 큰 만큼, 트럼프 대통령과의 최종 담판 직전까지 유보하고 있는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은 8월 1일부터 미국과 무역협정을 체결하지 못한 국가에 대해 15~20%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한국은 아직 일본(15%), 유럽연합(EU·15%), 영국(10%) 등과 달리 최종 합의에 도달하지 못한 상황이다. 경쟁국보다 높은 관세가 적용될 경우, 한국 기업의 가격 경쟁력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는 오는 31일 구윤철 장관이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과 최종 회동을 가진 뒤, 트럼프 대통령과의 최종 담판에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
‘트럼프식 계산법’은 협상 타결의 막판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일본과 EU에도 막판 투자 증액을 요구했던 만큼, 한미 간 실무-고위급 협의를 통해 잠정 합의된 투자액보다 훨씬 큰 금액을 ‘즉석 제안’하면서 추가적인 양보를 요구할 수 있다는 경계감이 남아 있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협상은 단순한 관세율 조정이 아니라 향후 한미 경제 구조 전반을 재편할 중대 전환점”이라며 “트럼프의 판단이 모든 걸 좌우할 것”이라고 말했다.